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알뜰폰, 내년엔 볕 들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6년간 4조원 통신비인하 효과
동시에 3000억 누적적자 기록
아시아경제

알뜰폰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거품 없는 요금제로 지난 6년간 4조원 넘는 가계통신비 인하 효과를 가져온 성과의 결과물은 누적 적자 3000억원이다. 보편요금제 도입, 선택약정할인율 상향 등 알뜰폰의 경쟁력을 갉아먹는 통신 정책들이 쏟아지고 있어 앞날도 밝지 않다.

윤석구 알뜰통신사업자연합회장은 11일 열린 '2017 알뜰통신사업자의 밤'에서 "최근 기본료 폐지 이슈와 보편요금제 입법 예고, 이동통신사 선택약정할인율 상향, 어르신과 저소득층 요금 감면 등 알뜰폰 생존에 영향을 미치는 정책들로 (알뜰폰의) 입지가 좁아지고 있다"고 토로했다.

알뜰폰에서 이통 3사로 옮겨가는 가입자 수도 증가세다. 순감소 폭은 지난 9월 366명에서 10월 1648명, 11월 4643명으로 3개월 연속 커졌다. 9월부터 선택약정제도의 요금할인율이 20%에서 25%로 5%포인트 올라간 게 결정타였다.

내년 전망은 더 어둡다. 오는 22일부터 저소득층의 통신요금 감면액이 1만1000원 늘어난다. 월 최대 3만3500원까지 감면이 가능해 '저렴한 요금'이라는 알뜰폰의 경쟁력이 상쇄된다. 정부는 최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보편적역무 손실보전금 산정방법 등에 관한 기준' 고시를 개정하기 위한 규제 심사도 끝냈다. 월 2만원에 데이터 1GB가 제공되는 요금제다. 알뜰폰은 이 같은 보편요금제가 도입되면 알뜰폰 가입자 이탈이 더 심해질 것이라고 우려한다.

이에 협회 측은 새 정부가 내세우는 '가계통신비 인하'를 실현하기 위한 알뜰폰의 역할론을 강조하고 나섰다. 윤 회장은 "2011년 알뜰폰이 태동한 이후 약 4조원의 가계통신비 인하에 기여하고 국민 가처분소득을 늘리는 데 기여했다"며 "고객 맞춤형 시장 투자를 확대하고 고객센터 인력 확충, 고객 만족 제고, 이용자 보호, 우체국 유통망을 활용한 고객 맞춤형 시장 발굴에 힘쓰겠다"고 말했다. 자구 노력을 약속하면서 정부의 정책적 지원도 호소한 것이다.

과기정통부 역시 알뜰폰을 가계통신비 인하를 위한 핵심 퍼즐로 보고 있다. 과기정통부는 알뜰폰과 이통 3사를 한자리에 불러 알뜰폰 활성화 대책을 고민하는 자리를 만들 계획이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망 도매대가 인하 등 관련 협상이 일단락됐지만 더 장기적인 방안을 모색하는 차원에서 함께 고민하는 자리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알뜰폰업계 관계자는 "무제한 요금제 구간에 도매대가 인하가 더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이 자리에서 제4 이동통신사 허가에 대한 논의가 이뤄질 가능성도 있다. 업계 일각에서는 알뜰폰이 MVNO를 넘어 MNVE로 진화할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MVNE는 이동통신사(MNO)와 알뜰폰(MVNO)의 중간 단계 사업자로 알뜰폰 사업 진출 컨설팅, 망 임대 협상 등을 맡는다. 최근 사명을 바꾸고 알뜰폰 협회를 탈퇴한 CJ헬로는 MNVE 진출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 관계자는 "CJ헬로가 MVNE를 고려하는 것은 제4 이통사로 진출하기 위한 사전 정지 작업으로도 볼 수 있다"고 분석했다.

김동표 기자 letmein@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