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문 대통령 국빈 방중 D-3…'북핵·경제' 해법 고심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13~16일 베이징·충칭 방문…단독·확대정상회담 등 일정
사드 해결·경제 관계 회복…대북 제재 방안 등 논의할 듯

아시아경제

문재인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지난달 11일 오후(현지시간) 베트남 다낭에서 열린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에서 만나 악수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이민찬 기자] 문재인 대통령은 중국 국빈 방문을 앞두고 주말 일정을 모두 비운 채 방중 준비에 매진하고 있다. 2018년도 정부 예산안이 국회를 통과했고 최재형 감사원장 후보자를 지명하며 국내 주요 현안을 일단락한 만큼 중국과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사드·THAAD) 보복, 북 핵·미사일 문제 등을 풀어내기 위한 구상에 집중하고 있다.

문 대통령은 오는 13일부터 16일까지 3박4일 일정으로 중국을 국빈 방문한다. 문 대통령의 중국 방문은 취임 후 처음이다. 청와대는 문 대통령의 방중을 계기로 사드 문제를 완전히 해소하고 양국 정상 간 신뢰와 우의를 돈독히 해 한중 교류·협력을 정상적인 발전 궤도로 조속히 회복시켜 나가는 전기를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박수현 청와대 대변인은 이번 방중과 관련, "중국 주요 지도자들과의 만남을 통해 수교 25주년을 맞은 한중 관계의 발전 현황을 평가하고 미래의 발전 방향을 협의할 예정"이라며 "올해 수교 25주년을 맞은 한중 관계가 앞으로 새로운 25년을 향해 힘차게 출발할 수 있는 기반을 다지는 계기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특히 문 대통령은 방중 기간 예정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의 정상회담과 리커창 총리와의 회담 준비에 집중하고 있다. 아울러 단독 정상회담에 이어 진행될 양국 주요 관계자가 배석하는 확대 정상회담, 국빈만찬, 친교행사 등도 준비하고 있다. 문 대통령은 중국 일대일로, 서부대개발의 거점이자 우리 독립운동 유적지가 있는 충칭도 방문할 계획이다.

문 대통령이 취임 이후 시 주석과 만나는 것은 이번이 세 번째다. 앞선 두 번의 만남이 국제행사를 계기로 잠시 회담한 것인 반면, 이번에는 국빈 자격의 정상회담이어서 깊이 있는 대화가 오갈 것으로 전망된다. 강경화 외교부 장관은 최근 문 대통령에게 중국 방문과 관련한 세부사항을 보고한 것으로 알려졌다.

국내에선 중국 측이 사드 문제를 언급할지 주목하고 있다. 지난 10월 한중이 관계 개선 관련 협의 결과를 공동 발표한 이후에도 시 주석 등 중국 고위급 인사들의 사드 관련 발언을 지속했기 때문이다. 청와대는 이를 중국 국내 정치용이라고 평가하고 있지만, 시 주석이 사드 문제 해결을 재차 촉구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문 대통령은 시 주석에게 북핵 문제에 대한 중국의 역할을 당부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북한에게 치명적인 대북 원유 공급을 전면 중단해달라고 건의할 가능성도 있다. 앞서 문 대통령은 지난달 29일 아베 신조 일본 총리와의 전화통화에서 대북 제재와 관련, "시 주석에게 더욱 강력한 역할을 해 달라고 요청할 계획"이라고 밝힌 바 있다.

문 대통령의 중국 특사였던 이해찬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발언으로 다시 논란이 일고 있는 쌍중단(雙中斷)과 쌍궤병행(雙軌竝行) 관련해 어떤 얘기가 오갈지도 관심사다. 중국이 주장하고 있는 쌍중단은 북한 핵·미사일 도발과 한미 연합군사훈련을 함께 중단하는 것이고 쌍궤병행은 한반도 비핵화 프로세스와 북미 평화협정 협상을 병행하는 것이다.

이민찬 기자 leemin@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