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한·중 정상회담 '카운트다운'···文대통령, 공식일정 없이 회담준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뉴시스

악수하는 문재인 대통령과 시진핑 주석


【서울=뉴시스】김태규 기자 = 문재인 대통령은 10일 공식 일정 없이 임박한 세 번째 한·중 정상회담을 준비한다. 전날부터 시작된 중국 방문 준비는 출국 직전까지 이어질 전망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이날 뉴시스와의 통화에서 "문 대통령은 어제부터 중국 순방에 대한 준비에 본격적으로 들어갔다"며 "오늘도 특별한 공식일정 없이 정상회담 준비에 전념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13일 출국해 베이징과 충칭을 방문하는 3박4일의 중국 순방일정을 소화할 예정이다. 순방간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과의 세 번째 한·중 정상회담을 가질 예정이다. 또 리커창(李克强) 총리와의 만남도 계획돼 있다.

두 정상은 앞서 앞서 지난 7월 독일에서 열린 주요20개국(G20) 정상회의 때와 지난달 베트남에서 열린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계기로 두 차례 정상회담을 했다.

두 차례의 정상회담이 다자회의 중간에 마련된 짦은 만남이어서 실질적인 성과를 내는 데 한계가 있었다. 이번 방중간 이뤄지는 정상회담은 두 정상이 함께할 시간적 여유가 많이 주어진다는 점에서 다양한 부분에서 깊은 대화가 오고갈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문 대통령의 이번 중국 방문은 북한의 신형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화성-15형 발사 후 이뤄진다는 점에서 새로운 북핵 해법이 도출될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문 대통령은 대북 원유중단 등 보다 강한 중국의 역할론을 강조할 것으로 전망된다.

앞서 문 대통령은 지난달 29일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와의 정상 통화에서 " 중국 방문을 통해 시진핑 주석에게 더욱 강력한 역할을 해 달라고 요청할 계획"이라고 밝힌 바 있다.

중국이 대북해법으로 제시한 '쌍중단'(雙中斷·북핵·미사일 도발 중단과 한미연합훈련 중단)과 '쌍궤병행'(雙軌竝行·비핵화 프로세스와 평화협정 동시진행)에 대한 입장 차를 좁히는 것도 관건이다.

북한의 핵·미사일 시험이 유엔 헌장 등 국제법을 정면으로 위반하고 있는 만큼 불법적인 것과 한·미 연합군사훈련 중단을 맞바꾸는 것은 성립될 수 없다는 게 문 대통령의 인식이다.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갈등을 완전히 봉합하고 새로운 한 ·중 관계에 대한 합의를 이끌어 낼 수 있을지도 관심사다.

문 대통령은 앞서 베트남 다낭에서의 두 번째 한·중 정상회담에서 매경한고(梅經寒苦·봄을 알리는 매화는 겨울 추위를 이겨낸다)라는 중국 사자성어를 인용하며 한·중 관계개선에 대한 강한 기대감을 나타낸 바 있다.

다만, 중국은 한반도 사드배치 문제를 국내 정치용으로 활용해오고 있어 정상회담 간 의제로 다시 불거질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 없다. 청와대와 외교부는 가급적 사드 문제가 공식 언급이 되지 않게 하기 위해 실무선에서 최대한 노력을 기울인다는 방침이다.

kyustar@newsis.com

▶ 뉴시스 빅데이터 MSI 주가시세표 바로가기
▶ 뉴시스 SNS [페이스북] [트위터]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