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3 (일)

‘노벨물리학상’ 스티븐 추 교수 “기후변화 대응 위해 탈원전 재고해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앞으로 세계는 온실가스 배출을 획기적으로 감축하지 않는 한 매우 심각한 기후변화 위험에 처하게 될 것입니다. … 핵폐기물 문제와 핵확산 문제를 생각하면 원자력발전이 비록 완벽한 옵션은 아니지만, 이산화탄소 발생량 등을 따지면 화력발전보다는 낫다고 봅니다.”

버락 오바마 미국 행정부에서 에너지부 장관을 지낸 스티븐 추 미국 스탠퍼드대 물리학과 석좌교수(분자세포생리학과 교수 겸직)는 23일 서울 중구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카이스트 에너지포럼 주최로 열린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과학과 정책의 중요성’ 강연에서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탈원전 정책을 재고해야 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추 교수는 독일의 탈원전 정책도 비판했다. 그는 “한국은 독일의 사례를 따라가면 안 된다”며 “(독일은) 탈원전을 추진한다면서 오히려 환경과 국민 건강에 안 좋은 에너지원을 쓰고 있는 실수를 범했다”고 말했다. 그는 독일 정부가 산업계에는 전기세 혜택을 주고 가정용 전기세는 높게 매기는 것도 문제라고 지적했다.

경향신문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중국계 미국인인 추 교수는 2009년부터 지난해 3월까지 에너지부 장관을 지내며 신재생에너지 정책을 펼쳐왔다. 1997년에는 레이저를 이용해 원자를 냉각·분리하는 연구로 노벨물리학상을 받았다.

그는 원전과 이해관계가 없는 과학자에게 관련 정책을 묻는 것이 한 방법이라고 제안했다. 대규모 원자로보다는 소형 원전이 활용성 면에서 더 낫다는 의견도 표했다. 그는 “한국의 원전 기술은 세계 최고 수준이다. 원전 사고 이후 안전과 관련된 기술력이 개선되고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추 교수는 한국이 2060년까지 원전을 없애고, 모든 전력을 신재생에너지로 생산할 수 있을지를 묻자 그는 “불가능하다. 그때까지 필요한 전력의 50%를 신재생에너지로 생산하기도 어려울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이날 강연에서도 “향후 반세기 동안 검증된 기술에 기반 한 주문형 에너지와 무 탄소 에너지원을 필요로 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정부의) 탈원전 의지는 존중하지만, 원한다고 다 이룰 수는 없다”며 “문재인 대통령을 설득해야 한다”고 말했다. 추 교수는 일본도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탈원전’을 선언한 바 있지만, 자신의 조언에 따라 탈원전 정책을 재고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기후변화를 고려하지 않는 트럼프 행정부의 에너지 정책이 실망스럽다며, “다른 대통령으로 바뀌는 것이 내 바람”이라고 농담을 하기도 했다. 앞서 이날 오전 추 교수는 대전 유성구 한국과학기술원(KAIST)에서 ‘기후변화와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과학의 역할’을 주제로 특강도 했다. 그는 이 자리에서 재생에너지로의 완전한 전환이 이뤄지기 전까지 원전이 일정 부분 필요하다는 견해도 밝혔다.

<주영재 기자 jyj@kyunghyang.com>

[경향비즈 바로가기], 경향비즈 SNS [페이스북]
[인기 무료만화 보기][카카오 친구맺기]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