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현장에서]安·劉 ‘양패구상’ 우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국민의당 끝장토론 연대통합 봉합 수준 그쳐...갈등 더 격화

통합 단초 제공 ‘안철수 대표’에 화살...호남 중진 공격 수위 높아져

바른정당 정책·선거연대 최악 상황 우려...내부 결속 먼저 다져야

이데일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데일리 김영수 기자] “애초부터 갈 길이 다른 사람들이 하나로 합치자고 나서니 어려울 수밖에 없다. 이러다 양측 모두 패하고 상처만 입게 되는 것 아닌지 우려스럽다.” 최근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와 유승민 바른정당 대표간 불붙었던 당대당 통합이 양패구상(兩敗俱傷)의 형국으로 치닫고 있다.

전날 국민의당은 5시간에 걸친 끝장토론을 벌였지만 의원들간 입장 차이만 확인했을 뿐 바른정당과의 연대 통합에 대해 어물쩍 넘어갔다. 정책·선거 연대를 통해 서로 간 신뢰를 확인(또는 구축)한 후 당대당 통합 논의를 하자는 것으로 가닥을 잡았다는 것이 전부다.

하지만 되레 당내에서 몇 명이 통합에 찬성하고, 반대하는지 알려지면서 갈등만 커지는 모양새다. 이날 아침 라디오 방송에 출연한 박지원 전 대표와 정동영 의원은 끝장토론에서 통합 반대가 다수였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최명길 의원은 곧바로 자료를 내고 박 전 대표와 정 의원의 발언에 반박하고 나섰다. 최 의원은 “예상했던 대로 실제 논의된 방향과는 다르게 일제히 오늘 아침 인터뷰들을 했다”며 “논의 방향을 언론에 잘못 전하고 있는 의원들이 있다”고 실망스러움을 표했다.

그러면서 “연대통합에 찬성하는 의원이 26명이라고 (나는)이해를 하고 있고 도저히 어떤 쪽인지 알 수 없는 3명을 반대로 포함해도 반대하는 의원은 14명”이라고 말해, 연대통합이 중론이었다고 강조했다. 이같이 통합 반대파와 찬성파간 의견이 팽팽히 맞서고 있어 앞으로도 당내 갈등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결국 국민의당 내부 균열의 단초를 제공한 안철수 대표에게로 화살이 향한다. 호남 중진을 대표하는 박 전 대표는 연일 안 대표에게 불만을 표출하고 있다. 통합은 당의 정체성을 무너뜨리고 지지기반인 호남으로부터 외면받는 결과를 초래한다는 논리다. 안 대표는 사실 당내 불만에 대해 명확한 스탠스를 취하지 않고 있다. 소위 ‘안파’와 ‘비안파’간 싸움을 강 건너 불구경하는 듯하다. 호남 중진 의원들을 만나 의견을 교환한다고 하지만 이들은 이미 안 대표에게 등을 돌린 듯한 모양새다. 이대로 가다간 국민의당도 내부 분열을 피할 수 없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는 이유다.

바른정당으로 눈을 돌려보면 막막하다. 유승민 대표 체제로 새롭게 출발했다고 하지만 이미 9명이 자유한국당으로 복당했다. 의원수가 11명으로 쪼그라들면서 교섭단체 지위도 상실했다. 유 대표는 어떻게든 당을 살리기 위한 다양한 전략적 접근을 시도하고 있다. 바른정당이 주체가 되어서 중도보수통합을 이끌어내야 한다는 다소 아이러니한 논리도 앞세우고 있다. 앞으로 추가 탈당 가능성도 있어 항로를 유지할 수 있을지 난망하다.

정치는 세력이 절대적 우위를 차지한다. 그래야 당뿐 아니라 의원들의 목소리에 힘이 실리고 주목받는다. 안 대표가 바른정당을 품으려고 하는 이유도 이런 차원으로 이해된다. 하지만 당내 어수선한 분위기를 다잡고 하나의 좌표를 정하지 못하면 바른정당과의 통합은 가시밭길을 걸을 수밖에 없다.

당장 정책·선거연대 동행에도 불구하고 내년 지방선거에서 양측 모두 참패한다면 또는 한 쪽이 무너진다면 그 책임은 누가 질 것인가. 최악의 상황에서 당대당 연대 통합의 불씨를 이어갈 수 있을지 우려스럽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