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30 (일)

김영삼 전 대통령 추도식에 간 문재인 대통령, 합리 보수층에 손짓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중앙일보

문재인 대통령과 부인 김정숙 여사가 22일 오후 서울 동작동 국립서울현충원에서 열린 고 김영삼 전 대통령 서거 2주기 추도식에 참석하기 앞서 김 전 대통령 차남 김현철 국민대 특임교수(오른쪽 두번째)와 묘소를 참배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이 김영삼 전 대통령 2주기 추도식에 참석해 국민 통합을 이루겠다는 의지를 재확인했다.

문 대통령은 22일 서울 동작동 국립현충원에서 열린 추도식에 참석해 추도사에서 “문민정부가 연 민주주의의 지평 속에서 대통령님이 남기신 통합과 화합이라는 마지막 유훈을 되새긴다”고 말했다.

중앙일보

문재인 대통령이 22일 국립서울현충원에서 열린 고 김영삼대통령 서거 2주기 추모식에서 분향 하고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문 대통령이 말한 통합에는 87년 민주화 항쟁을 함께 이끌고도 끝내는 다른 길을 걸었던 호남과 부산·경남 민주화 세력의 통합을 바라는 의미가 담겨있다고 할 수 있다.

자신이 호남 지역을 기반으로 하는 민주당 소속으로 김대중 정부의 유지를 이어 정권을 재창출한 만큼 부산·경남 지역의 민주화 세력을 상징하는 김영삼 전 대통령의 유훈도 받아 민주주의의 장애물인 지역 구도를 타파하겠다는 의미다.

중앙일보

문재인 대통령이 22일 국립서울현충원에서 열린 고 김영삼대통령 서거 2주기 추모식에서 분향 하고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추도사에서 문민정부의 출범으로 제 자리를 찾은 민주주의의 변곡점을 짚으면서 4·19혁명, 6월 항쟁과 함께 부마민주항쟁, 광주민주항쟁을 나란히 언급한 것도 이런 해석을 뒷받침한다.

김 전 대통령이 취임 후 3개월이 지나 발표한 담화문에서 ‘문민정부의 출범과 그 개혁은 광주민주화운동의 역사적 의미를 실현해 나가는 과정’이라고 한 점을 부각한 것도 같은 맥락으로 읽힌다.

중앙일보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숙 여사가 22일 오후 서울 동작동 국립서울현충원에서 열린 고 김영삼 전 대통령 서거 2주기 추도식에 참석 하고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일각에서는 3당 합당 후 보수 진영과 함께 한 PK(부산·경남) 민심을 비롯한 중도·보수 진영을 끌어안으려 하는 것 아니냐는 분석도 제기한다.

문 대통령은 지난 대선 기간에도 김 전 대통령의 차남인 김현철 국민대 특임교수와 대표적인 상도동계 인사인 김덕룡 현 민주평통 수석부의장의 지지를 이끌어 냈다. 당시 문 대통령은 이를 ‘중도 보수가 함께하는 국민 대통합의 출발’이라고 자평한 바 있다.

김 전 대통령과 같은 경남 거제 출신에 경남중·고 후배이기도 한 문 대통령은 1990년 3당 합당하기 전까지 부산을 기반으로 김 전 대통령과 민주화운동을 함께하기도 했다.

김민상 기자 kim.minsang@joongang.co.kr

▶모바일에서 만나는 중앙일보 [페이스북] [카카오 플러스친구] [모바일웹]

ⓒ중앙일보(http://joongang.co.kr) and JTBC Content Hub Co., Lt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