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젬백스 GV1001, 심장 허혈 후 재관류 손상 보호 효과 확인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젬백스앤카엘(대표이사 송형곤)은 심장 허혈 후 재관류 손상(ischemia-reperfusion injury)에서 GV1001의 심장근육 보호 효과를 동물실험을 통해 확인한 논문이 지난 9월 국제학술지인 Molecular Medicine Reports에 발표됐다고 22일 밝혔다.

허혈이란 조직이나 장기에 산소를 공급하는 혈류가 부족한 상태를 말하는데,특히 동맥경화성혈관협착에 의한 주요 장기의 허혈은 심근경색,뇌경색 등 중증질환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또한 심장수술에 있어서 필수적인 심정지 후의 심근보호법은 혈액 재관류시 심근에 손상을 초래할 수 있어 허혈 후 재관류 손상의 방지는 매우 중요하다.

젬백스에 따르면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분당서울대학교병원 흉부외과 임청 교수 연구팀은 흰 쥐의 심장근육 허혈을 유발하기 직전 여러가지 농도의 GV1001을 우심실전벽에 투여하고 허혈과재관류를 시행한 직후 채취한 심장조직에서 GV1001에 의한 출혈 및 세포사멸, 염증성사이토카인 수치를 대조군과 비교했다.

임청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GV1001이 심장근육의 허혈 후 재관류손상 에서 심장근육을 보호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했다"며 "현재 심장 수술 중에 심장근육의 보호를 위해 심정지액관류압 조절 및 관류액에 칼슘 또는 산소를 포함하는 방법 등이 사용되고 있으나 그 효과에 대해서는 이견이 있는 만큼,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분비를 감소시켜 허혈 후재관류 손상을 감소시키는 GV1001의효과의 확인은 향후 심근보호를 위한 약물로써 효용가치가 큰 연구결과"라고 말했다.

젬백스앤카엘 송형곤대표는 "이번 심장 허혈 후 재관류 손상 보호 효과 뿐만 아니라 최근에 발표된 줄기세포 추적자로써의 기능, 알츠하이머병의 원인인 아밀로이드베타로 손상된 세포의 복구 기능, 신장암 세포의 신생혈관억제 기능을 다룬 논문들은 그동안 GV1001에 대한 꾸준한 R&D 투자의 성과물"이라며 "앞으로도 젬백스가 보유하고 있는 다양한 지적재산권과 노하우들을 활용해 시장의 분위기에 좌지우지되지 않고 콘텐츠(Contents)를 갖춘 차별화된 바이오 기업으로 성장시키겠다"고 밝혔다.

[디지털뉴스국 이상규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