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16 (토)

유엔사 “귀순병사 구조 당시 JSA 대대장 현장에 있었다…현명하게 대응”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지난 13일 북한 군인 1명이 판문점 공동경비구역(JSA)으로 귀순할 당시 JSA 한국군 경비대대의 권영환 대대장(중령)은 구조 현장에 있었던 사실이 22일 유엔군사령부가 공개한 열감시장비(TOD) 영상을 통해 확인됐다.
서울신문

유엔군사령부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JSA 한국군이 귀순자를 구조한 직후 일부 언론에서는 권 대대장이 귀순자가 쓰러진 현장에 직접 출동해 낮은 포복으로 구조 작업을 했다고 보도했다. 권 대대장은 부사관 2명을 대동해 낮은 포폭으로 총상을 입고 쓰러진 귀순자에게 접근했다.

그러면서 ‘왜 부하들을 보내지 않았느냐’는 군 장성들의 질문에 권 대대장이 “차마 아이들을 보낼 수는 없었다”고 말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권 대대장의 솔선수범 리더십이 화제가 됐다(관련기사 귀순병사 직접 구조한 JSA 대대장 “차마 아이들을 보낼 수 없었다”).

그런데 최근 YTN은 “당시 상황이 촬영된 TOD 영상엔 대대장의 모습이 없다는 증언이 잇따르고 있다”면서 권 대대장의 영웅담이 조작됐을 가능성을 제기했다.

하지만 이날 유엔군사령부는 권 대대장이 귀순자 구조 현장에 있었다면서 현장 상황을 담은 TOD 영상을 공개했다. 위 사진에서 보면 가장 왼쪽 빨간색 동그라미로 표시한 인물이 귀순자이고, 귀순자에게 접근한 부사관 2명은 가운데 빨간색 동그라미로 표시했다. 가장 오른쪽 빨간색 동그라미로 표시한 인물이 바로 권 대대장이다.

채드 캐롤 유엔군사령부 공보실장(대령)은 이날 브리핑을 통해 “앞에 두 명이 부상당한 귀순 병사를 따라가는 부사관이고 (뒤에) 1명이 경비대대의 한국 군 대대장이다”라면서 “이 두 명이 한국 대대장 인솔 하에 주변 신속하게 이동하여 후송하고 있으며 그 동시에 미국 측 대대장은 전체적으로 모니터를 했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캐롤 공보실장은 “두 명의 부사관이 먼저 대대장 있는 곳까지 (쓰러진 귀순자를) 포복해서 데려가고 그 다음에 세 명이 차량에 탑승시켰다”면서 “굉장히 위험한 상황으로 북한 군 초소에서도 저곳을 볼 수 있는 상황이었다. 당시 급박한 상황에서 (JSA 한국군 경비대대는) 현명하게 대응했다”고 덧붙였다.

오세진 기자 5sjin@seoul.co.kr

▶ 부담없이 즐기는 서울신문 ‘최신만화’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