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전북 이어 전남서도 고병원성 AI 확진 판정…인재(人災)라는 지적 나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이투데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전남 순천만의 철새 분변이 H5N6형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 바이러스에 감염된 것으로 최종 확인됐다.

농림축산식품부는 환경부 산하 환경과학원이 순천만에서 채취한 야생조류 분변에 대한 유전자분석 결과 H5N6형 고병원성 AI를 확진했다고 20일 밝혔다.

전북 고창의 육용오리에 이어 전남 순천만 철새 분변에 대해서도 고병원성 AI 확진 판정이 나오면서 고병원성 AI 바이러스가 상당 부분 퍼졌을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방역당국은 이번에 국내에서 발생한 고병원성 AI가 앞서 이달 초 일본 시마네현 혹고니 폐사체에서 확인된 바이러스가 유입된 것은 아니라고 보고 있다. 혹고니 이동경로가 우리나라를 거쳐 가지는 않는다는 설명이다.

이번 고병원성 AI 발생은 시설 보수 등으로 막을 수 있었던 '인재'(人災)라는 지적도 나온다. 참프레에서 위탁을 받아 오리를 사육하는 고창 농가는 폐쇄회로(CC)TV를 설치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정부는 고창 농가가 소속된 계열화사업자 참프레에 대한 법적 조치를 검토할 방침이다.

김영록 농식품부 장관은 “해당 농장은 축사시설이 노후화돼 비닐이 찢겨져 있고, 야생조류 분변이 축사 지붕에서 다수 확인됐다”며 “참프레에 대해 어떤 조치를 강구할지 법적 검토를 면밀히 하겠다”고 전했다.

정부는 평창 동계올림픽까지 AI가 창궐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강원도 지역 소규모 농가 가금류에 대한 수매도태를 진행하고 있다. 강원도는 자체적으로 평창과 정선, 강릉 등 지역의 가금류 100수 미만을 사육하는 250개 농가, 3500수를 이달까지 수매도태할 예정이다. 현재 강원도가 78% 수매도태를 완료했다고 방역당국은 전했다.

[이투데이/박미선 기자(only@etoday.co.kr)]

▶프리미엄 경제신문 이투데이 ▶비즈엔터

Copyrightⓒ이투데이,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