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경북 동해안에 지진 대응기관 설립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국립지진방재연구원 용역비 / 정부 예산 전액 삭감… 무산 위기 / “원전 몰려있고 지진 공포 극심 / 국민 안전 위해 반드시 필요”

“경북 동해안 지역에 지진 관련 국립 대응기관을 설립해 주세요.”

경북도와 포항시가 지난해 발생한 경주 지진에 이어 이번 포항지진을 계기로 포항과 경주 등 경북 동해안 지역에 ‘국립지진방재연구원’을 설립해 줄 것을 정부에 적극 건의하고 나섰다.

20일 포항시에 따르면 지난해 9월 경주에서 규모 5.8의 강진이 발생한 데 이어 지난 15일 포항에서도 규모 5.4의 지진이 발생해 전국을 공포에 떨게 하고 했다. 포항 시민들은 여진이 계속되면서 극심한 불안과 트라우마에 시달리고 있다. 경북도는 지난해 경주 지진 이후 지진 방재 5개년 계획을 발표하고 2016년 36.3%인 공공시설물 내진율을 2021년 70%까지 끌어올리겠다고 공언했다. 하지만 최근 목표치를 45.2%로 슬그머니 낮췄다. 국비를 확보하지 못했다는 이유에서다.

지진 관련 국책 기관인 국립지진방재연구원 설립 계획도 예비타당성 조사를 위한 용역비가 내년도 정부 예산안에서 전액 삭감되면서 무산 위기에 빠졌다. 그러나 이번에 포항에서 강력한 지진이 발생하자 국가 차원의 지진대응시스템 구축과 체계적인 연구·조사를 담당할 국책연구기관 설치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문재인정부도 100대 국정과제에서 국민의 안전과 생명을 지키는 안심사회 구축을 주요 국정전략으로 설정하고, 2020년까지 선진국 수준의 지진 대응체계 구축을 약속했다.

포항지역 시민단체와 주민들은 지진 빈도가 높고 원자력발전소가 몰려 있는 포항을 비롯한 경북 동해안 지역에 정부기관인 국립지진방재연구원 등의 설립이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경북도와 포항시는 지난 15일 지진 발생 후 포항을 방문한 이낙연 국무총리와 김부겸 행정안전부 장관 등에게 경북 동해안 지역에 국립지진방재연구원 설치를 잇달아 건의했다.

포항시의 한 관계자는 “원전이 밀집한 경북 동해안 지역은 지진에 대한 불안과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며 “상습지진 지역에 대한 대응기관인 국책연구기관 설립은 경북 동해안 주민들과 국민 안전을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포항=장영태 기자 3678jyt@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 Segye.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