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8 (화)

ETN 개장 3년…덩치 10배 불었지만 과제 산적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연합뉴스) 전명훈 기자 = 국내 상장지수증권(ETN) 시장이 개장 3주년을 맞았다.

그동안 ETN 시장의 덩치는 크게 불어났다. 그러나 투자 저변이 아직 미약한 것을 비롯해 풀어야 할 과제도 많다는 지적이 나온다.

20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2014년 11월 개장한 ETN 시장은 지난 17일로 출범 3주년을 맞이했다.

올해 10월 말 현재 ETN의 종목은 178개로, 발행 총액은 4조8천625억원이다. 출범 당시(10종목, 4천661억원)와 비교하면 종목 수는 약 17배, 발행 총액은 약 10배가 됐다.

일평균 거래액도 2014년 하루 2억2천만원 수준에서 올해 10월말 339억1천만원으로 약 154배가 됐다.

특히 올해 6월 원자재 레버리지 상품이 출시되면서 거래량이 빠르게 늘어 10월 한 달 동안의 일평균 거래대금은 707억원에 달했다.

ETN 거래에 참여하는 계좌 수는 2014년 698개에서 올 10월 말 2만7천629개로 늘었다. 개인 투자자 비중은 줄고 기관·외국인 투자자의 비중이 상승하고 있는 점도

긍정적인 변화로 꼽힌다.

그러나 실제로 투자자가 보유한 물량을 뜻하는 투자자 보유잔고는 아직 2천269억5천만원에 머물고 있다. 누적 발행총액(4조8천625억원)의 4.6% 수준에 그친다.

나머지는 투자자가 나타날 때에 대비해 증권사가 갖고 있는 물량이다.

거래소는 "투자자의 관심을 한층 더 유도할 수 있는 '대표 상품'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며 "신상품을 도입하고 마케팅을 강화해 ETN 시장을 손쉽게 투자할 수 있는 종합자산관리 시장으로 육성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ETN은 국내외 주식, 채권, 상품, 변동성 등을 기초자산으로 하는 파생결합증권으로, 주식처럼 자유롭게 사고팔 수 있는 상품이다. 해외주식, 선물, 채권, 원자재 등 개인들이 쉽게 투자하기 어려운 종목들에 분산 투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id@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