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1 (월)

[포항 지진]역대 두번째...안전지대 벗어난 한반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경북 포항에서 15일 오후 규모 5.4의 지진이 발생했다. 지난해 규모 5.8의 경주 강진에 이어 역대 두 번째 위력이다. 유리창이 깨지고 외벽이 무너지는 등 다수의 재산 사고가 발생했지만 다행히 아직까지 큰 인명피해는 접수되지 않았다. 문재인 대통령은 곧바로 수석보좌관회의를 열고 상황의 철저한 관리를 지시했다. 정부도 중앙재난대책본부를 가동했다. 대학수능능력시험도 예정대로 치른다. 다만 여진은 수개월간 계속될 전망이다. 향후 더 큰 지진의 올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관련기사 2·3면>
기상청에 따르면 이날 경북 포항시 북구 북쪽 9km지역(북위36.12도, 동경129.36도)의 땅속 9km에서 규모5.4의 지진이 일어났다. 최대진도는 경북Ⅵ, 강원·경남·대구·부산·울산·충북 Ⅳ, 전북Ⅲ 등으로 관측됐다.

진도Ⅳ는 실내 건물에서 느낄 수 있고 Ⅴ는 실내외 구분 없이 거의 모든 사람들이 감지하며 그릇, 창문 등이 깨어진다. Ⅵ는 무거운 가구까지 움직이는 수준이다.

기상청과 지진 전문가들은 지진의 원인을 양산단층 지류에서 찾았으며 이는 동일본대지진의 여파라고 추정했다. 작년 경주 강진과 유사하다.

포항 지진이 경주 때보다 규모는 작지만 진도를 더 크게 느낀 것은 지진이 발생한 땅속 지점이 9km에 불과했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경주 지진은 15km지점이었다. 포항 지진 신고는 서울, 강원도, 전라도, 제주도 등 전국에서 접수됐다.

지진 발생이후 피해도 속속 확인됐다. 기업들은 반도체 생산라인을 일시 가동 중단했고 포항 주변지역인 부산~김해 경전철이 7분간 운행이 중단됐다. 진앙지인 포항과 경북에선 유리창이 깨지고 건물 벽이 무너져 수십 명이 크고 작은 부상을 입었다는 신고가 접수되고 있다. 휴대폰 전화와 인터넷도 한 때 전국 곳곳에서 먹통이었다.

소방청에 따르면 오후 5시 현재 전국 지진 피해신고는 모두 7810건이었으며 인명피해는 경상 10건이 접수됐다.

반면 원자력발전소는 설비고장이나 방사성 누출이 없다고 해당 공공기관은 알려왔다. 한국수력원자력은 "모든 원전이 발생정지나 출력감소 없이 정상 운전 중"이라고 했으며 한국원자력환경공단도 "경주 중저준위방폐물 처분시설은 이상 없이 가동하고 있다"고 밝혔다.

동남아시아 3개국 순방을 마치고 귀국한 문 대통령은 즉시 청와대로 복귀해 긴급 수석보좌관회의를 소집하고 “지진 발생 때 본진뿐만 아니라 여진 등의 발생에 대한 불안이 크다”며 “현재 발생한 지진이 안정범위 이내라고 긴장을 풀지 말고 향후 상황을 철저히 관리하라”고 지시했다.

행정안전부는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1단계를 가동했고 산업통상자원부 역시 원전 및 발전소, 방폐장, 가스관, 송유관, 송배전망 등 주요 에너지 관련시설별로 이상 여부 확인에 들어갔다.

jjw@fnnews.com 정지우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