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산불 취약지역에 담수지 추가 설치…기존 사방댐 확장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뉴시스

안동시 일직면 국유림 '산불'


행안부-산림청, 산불재난 대응방안 협의

【서울=뉴시스】강수윤 기자 = 정부가 대규모 산림지역에 담수지가 적어 대형 산불진화가 곤란한 점을 보완하기 위해 담수지 추가 설치 또는 기존 사방댐을 확장할 계획이다.

22일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류희인 행안부 재난안전관리본부장과 김재현 산림청장이 23일 만나 대형화 되고 있는 산불재난 대응강화를 위한 협력 방안을 논의한다.

협력방안 안건으로 ▲산불 취약지역내 담수지 설치 ▲산불재난 정책협의체 구성 ▲산불 진화헬기 공조강화 ▲산불 상황관리 및 현장대응력 보강 등이다.

최근 미국, 포르투갈, 스페인의 산불에서 보듯이 여름철 고온, 강풍 등 기상이변, 도시화 등에 따라 세계적으로 산불이 대형화 되고 있다. 우리나라도 올해 5월에 동시다발로 발생한 강릉·삼척·상주 산불로 1103ha의 산림이 피해를 입었고, 인명(사망2, 부상6) 및 142억 원의 재산피해가 발생했다.

이에 따라 대형 재난성 산불에 대비해 행안부와 산림청은 대규모 산림지역에 담수지가 적어 산불진화가 곤란한 점을 보완하기 위해 담수지 추가 설치 또는 기존 사방댐을 확장할 계획이다.

또 삼척 등 대형 산불 취약지역이지만 담수지가 없거나 원거리에 위치하고 있는 지역에는 산불진화용수를 확보할 수 있는 취수보 등 다목적 소규모 담수지를 신설해 산불진화 효과를 극대화할 방침이다. 산림이 많은 강원, 경북 등에 대형 산불이 발생하면 산불진화 헬기에 의존하는 것이 현실이지만 고가의 헬기 확보는 재정적인 한계 등으로 단시간 내 추가 확보가 어렵기 때문이다.

행안부, 산림청, 소방청 간에 산불대응 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정책협의체를 구성, 봄철과 가을철 산불조심기간에 대비해 정기적으로 운영할 계획이다.

동시다발·대형 산불 발생(우려) 시 산림청에서 유관기관 헬기를 신속 요청하고 유관기관 가용헬기는 신속히 출동해 지원하는 체계를 강화하기로 했다.산불의 신속한 확인, 유관기관 간 정보공유를 통해 상황관리를 더욱 철저히 하고, 현장대응력을 보강할 방침이다.

행정안전부와 산림청은 추수가 끝나는 가을철 산불조심기간(11.1~12.15)에 대비해 산불전문 예방진화대, 산불감시원 등 산불방지인력(2만3000명)을 조기선발하고 진화헬기 등 신속한 초동대응체계를 강화한다.

류희인 행안부 재난안전관리본부장은 "기후변화로 건조한 날씨가 지속되고, 낙엽이 많이 쌓이는 등 미국 캘리포니아와 같은 대형 산불의 발생 위험이 커지고 있어 국가적 산불대응역량 강화가 절실히 필요하다"고 말했다.

shoon@newsis.com

▶ 뉴시스 빅데이터 MSI 주가시세표 바로가기
▶ 뉴시스 SNS [페이스북] [트위터]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