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북 핵실험장 분위기, 탈북민들 삶 생생히 묘사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풍계리 진달래’ 기획한 김영수 교수

실제 탈북자 3명 연극 공연에 참여

“남북 하나 되게 문화적으로 접근”

중앙일보

새조위 통일연극단이 20일 대학로 서완 소극장에서 공연하는 연극 ‘풍계리 진달래’ 총연습을 마치고 기념촬영을 했다. 북한 전문가인 김영수(왼쪽 셋째) 서강대 교수가 단장을 맡았다. [사진 김영수 교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북한 전문가인 김영수(60) 서강대 정치외교학과 교수가 연극단장을 맡아 첫 작품을 무대에 올린다. 20일부터 대학로 서완 소극장에서 공연하는 ‘풍계리 진달래’(이지환 연출)다.

풍계리는 북한의 핵실험장이 있는 함북 길주군에 있는 지명이다. 김 교수는 “연극단이 지난 여름 풍계리를 소재로 삼았는데 지난달 북한이 핵실험을 하면서 유명세를 타게 됐다”고 말했다.

연극은 핵실험 이후 귀신 병으로 흉흉한 풍계리의 분위기와 탈북민들의 삶을 그렸다. 귀신병을 앓고 있는 아들(혁찬)을 살리기 위해 돈을 벌러 중국으로 건너가 인신매매를 당한 엄마(수희)가 마약 운반책이 돼 한국에 온다. 그러나 아들이 죽고, 아내가 한국에 갔다는 사실을 알게 된 남편(강진)은 아내를 찾아 탈북해 한국에 왔지만 수희는 이미 체포돼 수감생활을 한다는 내용이 줄거리다.

8명의 배우 중 강화옥, 김봄희(이상 여), 오진하씨는 탈북자다. 김 씨와 오 씨는 동국대에서 연극영화를 전공하긴 했지만 나머지는 연극 전공을 하지 않았다. 전문 연극단이라기보다 ‘남과 북’, ‘전공자와 비전공자’들이 함께 했다. 그러다 보니 7~9월은 매주 네 차례씩 퇴근 후 3~4시간 손발을 맞췄고, 이달 초 연휴도 반납한 채 공연을 준비했다고 한다.

내용으로 보나 출연자의 구성으로 보나 굳이 김 교수의 ‘외도’라기 보다 본업의 연장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공연도 20일과 22일 각 1회, 21일 2회 등 모두 4회 뿐이다. 극단 명칭은 이들을 돕고 있는 NGO의 이름을 빌려 ‘새조위 통일연극단’으로 정했다. 새조위(새롭고 하나된 조국을 위한모임)는 1988년 설립돼 탈북자들의 국내 정착을 돕는 통일운동 단체다.

김 교수는 “북한 문제를 그린 연극을 통해 한국사회에서 생활하는 탈북민들의 복잡한 심경을 알게 됐다”며 “강의나 책보다 남과 북이 하나 되는데 문화적으로 접근을 해보자는 판단을 했고 백배의 울림이 된다는 결론을 내렸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보다 많은 국민들이 남북관계와 탈북민 문제에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오랜 기간, 또는 지방 공연이 이뤄지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정용수 기자 nkys@joongang.co.kr

▶모바일에서 만나는 중앙일보 [페이스북] [카카오 플러스친구] [모바일웹]

ⓒ중앙일보(http://joongang.co.kr) and JTBC Content Hub Co., Lt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