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1 (월)

"미국행 비행기 타려면 4∼5시간前 공항 가라"…보안검색 강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모든 승객 탑승전 '보안 질의' 거쳐야…美국적기·LCC 우선 적용

연합뉴스

전신검색대 통과하는 승객들
지난 9월 14일 오전 인천공항 제2여객터미널에서 열린 종합 시험운영 점검에서 전신검색대를 통과하고 있는 가상 여객들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김동규 기자 = 오는 26일부터 미국에 가려면 비행기 이륙 4∼5시간 전에 공항에 도착해야 할 전망이다.

모든 미국행 승객은 공항 카운터에서 2∼3분 정도 미국 방문 목적과 현지 체류 주소 등 보안 질의(인터뷰)를 거쳐야 해 출국 수속 시간이 1∼2시간 더 걸릴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연합뉴스

출국객으로 붐비는 인천국제공항 [연합뉴스 자료사진]



17일 국토교통부와 항공업계에 따르면 26일부터 미국행 여객기 탑승객에 대한 보안 검색이 강화된다. 이는 미 교통안전청(TSA) 요청에 따른 것이다.

TSA는 지난 6월 미국을 취항하는 전 세계 항공사에 탑승객 보안검색 강화를 요청했다.

한국에서 보안검색 강화는 이달 26일부터 델타항공, 아메리칸항공 등 미국 국적기와 미국령인 괌·사이판 등에 취항하는 국내 저가항공사(LCC)부터 적용될 예정이다.

미국 운항횟수가 많은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은 내년 1월 인천공항 제2터미널이 완공되면 설비 이전 등이 다시 필요할 수 있어 그때까지 시행 유예를 TSA에 요청했지만, 아직 정확한 답변을 받지 못한 상태다.

연합뉴스

[그래픽] 모든 미국행 승객 보안검색 강화



이에 따라 미국 국적기나 LCC를 타고 미국으로 가는 승객은 26일부터 강화된 보안검색을 받아야 한다.

공항에 도착하면 항공사 카운터에서 항공사 직원과 '인터뷰'를 해야 한다. 여행 목적, 체류 기간, 현지 주소 등의 질문에 답해야 한다.

테러 등에 대비해 수상한 사람을 걸러내기 위한 절차로 수사 기관에서 사용하는 일종의 '프로파일링 기법'을 사용하는 것이다.

답변이 부정확하거나 미심쩍은 경우 '요주의 인물'로 분류돼 탑승 전 격리된 공간에서 다시 정밀 검색을 받아야 한다.

현재 탑승구 앞에서 무작위로 선정해 시행 중인 소지품 검사도 26일부터는 모든 승객에게 확대될 전망이다.

한 사람 인터뷰하는데 2∼3분 걸리기 때문에 지금보다 탑승 수속에 걸리는 시간이 1∼2시간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연합뉴스

미국행 비행기 보안검색 강화 (PG)
[제작 최자윤] 일러스트



여기에 '요주의 인물'에 대한 정밀 검색까지 마치면 미국행 비행기에 모든 승객이 탑승을 완료하는 데는 시간이 더 걸릴 수 있다.

항공사들은 심사가 길어질 경우 비행기 지연과 함께 환승객이 비행기를 놓치는 일도 벌어질 수 있어 인터뷰 시간을 줄이기 위해 근무 직원을 보강하는 등 대책 마련에 나섰다.

항공사 관계자는 "미국행 비행기를 타는 경우 지금은 이륙 3시간 전까지 공항에 오도록 안내하고 있지만, 앞으로는 이륙 4∼5시간 전 공항에 도착해야 안전하게 탑승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국토부 관계자는 "현재 항공사, 인천공항공사 등 관계기관과 함께 대응방안을 마련하고 있다"며 "이용객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dkkim@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