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30 (일)

5G 대세라지만…"향후 10년간 4G가 세계 모바일 시장 지배"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GSMA "2025년까지 이용자 36억명 증가…5G 증가폭의 3배"

연합뉴스

연합뉴스 자료 사진



(서울=연합뉴스) 고현실 기자 = 5G가 차세대 이동통신 기술로 떠오르고 있지만, 향후 10년간은 4G가 지배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26일 이동통신업계에 따르면 GSMA(세계이동통신사업자협회)는 최근 발표한 '2017 글로벌 모바일 트렌드' 보고서에서 "5G가 차세대 기술로 입지를 다지겠지만 (이용자) 규모 측면에서 적어도 향후 10년간은 4G가 모바일 분야를 지배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GSMA는 2016년에서 2025년까지 4G 이용자가 36억명 증가해 전체 모바일 이용자의 3분의 2(63%)를 차지할 것으로 내다봤다. 같은 기간 5G 이용자는 12억명 늘어나는 데 그칠 전망이다.

신흥시장이 성장을 주도하는 가운데 인도, 인도네시아, 브라질이 전체 4G 이용자 증가 인원의 35%를 차지할 것으로 분석됐다.

GSMA는 "세계적으로 4G 휴대전화를 사용하는 이용자는 여전히 전체 휴대전화 이용자의 4분의 1에 불과하고, 3G와 2G 피처폰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다"며 "5G가 2019∼2020년 상용화되겠지만 4G에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4G(LTE)가 진화를 거듭해 대용량 동영상 트래픽을 처리하기 충분한 점이 5G와 공존 가능성을 높인다고 GSMA는 설명했다.

GSMA에 따르면 올해 2분기 기준으로 모바일 이용자는 50억명으로 세계 인구의 67%를 차지했다. 2020년에는 아시아를 중심으로 56억2천만명까지 늘어나 세계 인구의 72% 차지할 것으로 전망됐다.

GSMA는 향후 모바일 이용자의 증가세가 더뎌져 40억명에서 50억명이 되기까지 4년이 걸렸지만, 60억명까지는 더 오래 걸릴 것으로 예상했다.

사물 간 연결성은 더욱 확대될 전망이다. 사물인터넷(IoT) 연결에 있어 현재는 소비자 시장(B2C)이 지배적이지만, 향후 기업(B2B) 시장이 성장의 열쇠가 될 것으로 GSMA는 내다봤다.

연합뉴스

통신기술별 이용자 현황 및 전망
GSMA '2017 글로벌 모바일 트렌드 보고서'



okko@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