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1 (월)

정치권, “북한 핵실험 방사능 오염 가능성 대비해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유승민 "선제적으로 모든 대비책 세워야"

박지원 "국제사회와 정보공유 필요"

북한의 6차 핵실험에 따른 환경 여파에 대한 우려가 정치권에서도 커지고 있다. 핵실험 장소로부터 5~6㎞ 떨어진 풍계리 일대에서 23일 규모 3.2의 지진까지 발생한 터여서다.

바른정당 유승민 의원은 24일 “북한의 6차 핵실험 이후의 연쇄 지진으로 인한 방사능 오염 가능성에 대하여 선제적으로 모든 대비책을 세울 것을 촉구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유 의원은 “중국, 일본 등 인접국가들도 피해당사국이 될 수 있는만큼 우리 정부가 중국, 일본, 러시아 등과의 국제공조에 주도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유 의원은 “전문가들은 6차 핵실험 이후 풍계리 핵실험장 주변지역이 연이은 지진으로 붕괴되면 핵실험으로 발생한 방사능이 지상으로 방출되어 대기가 오염되거나, 지하수층이 오염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며 “핵실험 이후의 연쇄 지진으로 인한 대기 및 지하수의 방사능 오염이 우리의 환경에 미칠 수 있는 치명적인 영향과 우리의 산업과 경제에 미칠 파급효과에 대해 경종을 울려야 한다”고 말했다.

국민의당 박지원 전 대표도 24일, 풍계리 지진에 대해 언급하며 “우리 머리 위에서 핵실험으로 지진이 발생하고, 여기에 인공적이든 자연적이든 백두산 및 핵실험장 인근 지역에서 지진이 활성화되고 있다면 어떤 식으로든 남북, 그리고 나아가 국제사회가 공동으로 이를 조사하고 대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박 전 대표는 “전문가들은 백두산 화산이 분화되면 2010년 아이슬란드 화산분화의 1천배 이상 규모가 될 것이라 예측한다”면서 “한반도 전역은 물론 중국까지 거대한 용암 분출, 황사 경보 때보다도 더 심한 화산재 피해, 수증기로 인한 홍수 피해로 끔찍한 재앙을 맞을 수 있다”며 “북한도 추가적인 핵 도발을 중단하고, 백두산 화산 분화 문제에 대해 국제사회와 함께 모든 정보를 공유하고 대비해야 한다고 강력하게 촉구한다”고 덧붙였다.

박 전 대표는 지난 2010년 국회 정보위원회 국정감사에서도 “백두산에서 지진 화산 분화의 전조일 수도 있는 수천마리의 뱀떼가 출현했다”며 백두산 분화 가능성과 대처 방안에 대해 남북 공동 연구를 제안했었다.

안효성 기자 hyoza@joongang.co.kr

▶모바일에서 만나는 중앙일보 [페이스북] [카카오 플러스친구] [모바일웹]

ⓒ중앙일보(http://joongang.co.kr) and JTBC Content Hub Co., Lt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