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67년 만에… 6ㆍ25 경찰 전사자 유해 가족 품으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국일보

국방부는 22일 6·25 전사자 고(故) 구창신 경사의 손자 구봉호(61)씨의 인천 자택을 방문해 전사자 신원확인 통지서와 유품 등을 전달하는 '호국의 영웅 귀환행사'를 한다고 전했다. 사진은 국방부 장관 위로패, 유해수습 시 관을 덮은 태극기, 유해발굴 시 함께 수습된 유품(버클)이 포함된 '호국의 얼 함'. 국방부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6ㆍ25 전쟁 당시 북한군과 싸우다 숨진 경찰관의 유해가 추석을 앞두고 67년 만에 가족 품으로 돌아왔다.

국방부는 22일 6ㆍ25 전사자인 고 구창신 경사의 손자 구봉호(61)씨의 인천 자택을 방문해 전사자 신원확인 통지서와 유품들을 전달했다. 이른바 ‘호국의 영웅 귀환 행사’다.

국방부에 따르면 1910년 전남 장흥 태생인 구 경사는 전남 강진경찰서 소속 경찰관으로 일하던 1950년 6ㆍ25 전쟁이 터지자 나이 마흔에 참전했다. 당시 딸 셋, 아들 하나를 둔 가장이었다. 전쟁 초기 북한군은 한 달 만에 남해안까지 밀고 내려왔고 구 경사는 7월 27일 완도로 철수한 지역 경찰에 속해 해상유격전을 벌였다. 얼마 뒤 구 경사는 북한의 완도 상륙을 저지하는 전투에서 총탄에 맞아 숨진 것으로 국방부는 추정하고 있다.

구 경사의 유해를 찾는 데에는 지역 주민과 유족의 역할이 결정적이었다. 할아버지 시신이 고금도에 묻혔다는 마을 주민이 말을 들은 손자 구봉호씨는 고금도를 수 차례 방문, 매장지로 짐작되는 장소를 찾았다. 구씨는 이를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에 제보했고 유해발굴감식단은 6ㆍ25 당시 경찰 전투 기록 등을 토대로 올 3월 발굴 작업에 착수, 전남 완도군 고금면 덕동리에서 구 경사의 유해를 수습했다.

신원도 금세 확인됐다. 구 경사의 딸 구정자(81)씨가 아버지 유해를 찾으려고 이미 2012년 지역 보건소에 찾아가 유전자 시료를 채취해놨기 때문이다. 입원 치료 중이어서 귀환 행사에 참가하지 못한 구정자씨는 “6ㆍ25 때 고금도에서 아버지와 헤어진 기억이 난다”며 “아버지를 찾게 돼 감격스럽다. 국방부에 감사한다”고 말했다.

유해발굴감식단은 유족과의 협의를 거쳐 구 경사 유해를 국립현충원에 안장할 계획이다. 안장식은 경찰청 주관으로 열린다. 권경성 기자 ficciones@hankookilbo.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