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16 (토)

"웹 콘텐츠로 해외시장 공략하겠다"… 취임 2년 맞은 임지훈 대표, 카카오 비전 제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메트로신문사

임지훈 카카오 대표가 지난 20일 카카오 본사에서 열린 '프레스 T500' 간담회에서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카카오


"웹툰, 웹소설, 게임과 같이 대한민국이 강한 것을 가지고 해외로 진출하겠다."

오는 23일로 취임 2주년을 맞는 임지훈 카카오 대표이사가 20일 경기도 성남시 카카오 판교 사무실에서 열린 '프레스 T500' 행사에서 콘텐츠 기반의 해외 진출 사업 방향을 공개했다. 이와 함께 인터넷 기업을 대상으로 불거진 규제 논의에 대해서는 "해외 사업자들과 동등하게 규제를 적용해 달라"고 강조했다.

T500은 화요일(Tuesday)의 'T'와 저녁 5시를 의미하는 '500'의 합성어로 매주 화요일 오후 5시에 열리는 전체 회의다. 지난 2015년 제주에서 열린 기자 간담회 이후 근 2년 만에 공식석상에 선 임지훈 대표는 청색 셔츠 차림의 편한 복장으로 기자들의 질문에 자유롭게 답했다. 임 대표는 취임 이후 내실 다지기에 집중하기 위해 외부 활동을 자제했다. 임 대표가 공식석상에 모습을 드러낸 것은 그간 쌓아온 카카오 사업 결과물에 대한 자신감을 방증하기도 한다.

실제 지난해 실적 부진으로 대표 교체설이 떠돌기도 했던 때와 평가도 천양지차로 달라졌다. 게임, 음원 등 주력 분야가 선전해 올 1~2분기 연달아 호실적을 기록했다. 특히 게임, 웹툰 플랫폼의 급성장과 인터넷 은행인 '카카오뱅크' 열풍 등 잇따른 호재가 자신감에 날개를 달아줬다. 카카오 주가는 20일 종가 기준 14만2500원으로 지난해 9월(8만3000원대)과 비교해 70% 이상 뛰었다.

그는 "회사가 다양한 사업을 하고 있을 때 뒤에서 작업을 끝내고 나면 결과는 그 후에 나온다"며 "분기 실적보다 중요한 것은 우리가 나아가야 하는 방향"이라고 말했다.

임지훈 대표는 "이모티콘, 웹툰, 웹소설 등과 같은 콘텐츠에 대한 해외 사업 성과들이 조금씩 보이고 있다"며 "코어(핵심) 플랫폼 사업은 국내에서 쭉 나가고 콘텐츠 사업은 국내뿐 아니라 해외서도 성공할 수 있도록 힘을 기울일 것"이라고 해외 사업 방향에 대한 밑그림을 밝혔다.

이어 "카카오재팬이 픽코마에 '기다리면 무료'를 적용해 가파르게 성장하고 있고 우리의 파트너사들이 해외에서 성과낼 수 있게 도울 것"이라며 "향후 자회사 로엔을 통해 뮤직 등 플러스 알파를 유통하는 것도 염두에 두고 있다"고 덧붙였다.

카카오톡의 해외 진출에 대해서는 "한 국가의 첫번째 메신저로서 전국민이 거의 매일 보는 플랫폼이 되는 게 중요하지, 50개 국가에서 200만명 정도 쓰는 플랫폼이 되는 건 사업적으로 큰 의미가 없다"며 "카카오톡으로 해외 진출하는 건 어렵다고 진작에 판단 내렸다"고 선을 그었다. 카카오톡은 과거 일본, 인도네시아 등에 진출을 시도한 바 있지만 실패하고 사업을 접은 바 있다.

카카오뱅크 열풍에 대해서는 기대치 못한 성공이었다고 평했다. 그는 "이렇게 드라마틱하게 성장할 것이라고는 예상치 못했다"며 "금융 혁신, 은행 혁신의 가능성이 보이고 국민들이 원한다면 드라이브를 걸 수 있겠다는 생각을 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최근 국내뿐 아니라 글로벌 사업자들이 각축전을 벌이고 있는 인공지능(AI) 사업에 대해서는 "국내외 주요 기업과 비교해 전혀 못하다는 생각이 들지 않을 것으로 자신한다"고 자신감을 보였다. 그는 "2010년부터 음성 검색, 콘텐츠 자동 추천, 꽃 검색 등 AI 역량을 꾸준히 쌓아왔고 최근 내놓은 AI 번역도 품질이 좋다"고 강조했다.

AI 전략에 관해서는 다양한 제휴 기업과 손잡고 보증서처럼 믿고 쓸 수 있는 카카오 AI 생태계를 구축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올해 안에 '여기랑도 했네'라고 생각할 만한 생활에 관련돼 있는 제휴 소식을 한 두달 안에 들어실 수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이날 임지훈 대표는 네이버, 카카오 등 인터넷 업체에 적용된 정부 규제에 관해서도 입을 열었다. 임 대표는 "글로벌 기업들과의 역차별에 대해 문제의식을 갖고 있다"라며 "글로벌 IT 기업들이 혁신해나갈 수 있는 운동장에 우리도 뛸 수 환경이 갖춰졌으면 한다"고 강조했다. 국산 포털인 네이버·카카오만 강한 '챌린지'(규제 관련 부담)를 받고 있다는 주장이다.

최근 사회적 쟁점으로 부상한 '퇴근 후 카카오톡 지시 금지' 논의와 관련해서는 당혹스럽다는 심정을 밝혔다. 퇴근 후 연결되지 않을 권리는 중요한 문제지만, 소통의 도구인 카카오톡이 아닌 관행이 문제 해결의 핵심이라는 것이다. 최근 고용노동부는 카카오와 만나 일과 후 지시를 줄이고자 카카오톡에 '메시지 예약 전송' 기능을 추가해달라고 요청했지만, 카카오 측은 '갑작스러운 기능 변경은 어렵다'고 난색을 보인 바 있다.

한편, 임 대표는 준대기업집단 총수 지정에 대해서는 "솔직히 말씀드리면 저에게 해당되는 일이 아니라 관심이 없다"며 "투명하게 경영하고 있기 때문에 요청에 맞춰 따를 것"이라고 말했다.

김나인 기자 silkni@metroseoul.co.kr

ⓒ 메트로신문(http://www.metroseoul.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저작권문의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