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 내린 양적 완화 시대, 한은 금리 인상 시기 저울질
국내 경기·물가 흐름 우호적… "북한 리스크가 변수"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뉴스1 © News1 이승배 기자 |
(서울=뉴스1) 전준우 기자,김민성 기자 = 미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20일(현지시간) 본격적으로 긴축 속도를 내기 시작했다. 다음 달부터 매월 100억달러씩 보유자산을 축소하겠다고 구체적인 스케줄을 밝히고, 올해 12월 추가 인상 가능성도 키웠다. 양적 완화 시대가 막을 내렸다.
미 연준이 올해 12월 기준금리를 한 차례 더 올리면 우리나라 기준금리(1.25%)보다 높아진다. 다행히 내외금리 차 역전만으로 급격한 자본 유출을 우려할 상황은 아니다.
한은 고위 관계자는 "경상수지 흑자로 달러가 대거 유입되고 있지만, 보험사나 증권사 등 해외 투자가 늘어나면서 해외로 빠져나가는 자금도 그에 못지않게 많아 균형을 유지하고 있다"며 "과거와 같이 내외금리 차만으로 급격한 자본 유출을 우려할 상황은 아니다"고 말했다.
그렇다고 미 연준이 긴축 페달을 밟는 상황에서 우리나라가 낮은 금리 수준을 계속 유지하는 것도 부담이다. 한은도 금리 인상 시기를 저울질하고 있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지난 6월 "통화정책 완화 정도 조정이 필요하다"며 이미 금리 인상 깜빡이를 켰다. 이 총재는 21일 오전 출근길 기자들과 만나 "내외금리 차 확대도 통화정책의 고려 요인"이라고 말했다.
기준금리 인상의 가장 큰 걸림돌은 북한 리스크다. 구체적인 수치로 가늠할 수 없는 복병이다. 경제 주체들의 심리가 얼어붙을 수 있고, 금융시장의 불확실성도 커질 수 있다. 북한 리스크가 우리 경제 하반기 최대 변수로 급부상한 상황이다.
이 총재도 "금리 차만 가지고 통화정책을 하는 것은 아니다"며 "국내 경기와 물가 흐름이 중요하고, 북한 리스크도 있어 셈법은 복잡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 총재가 금리 인상의 중요한 전제로 삼는 국내 경기와 물가 흐름은 금리 인상에 나름대로 우호적이다. 오히려 금통위원회 내부적으로 장기간 통화 완화에 따른 금융 불균형 등 부작용이 쌓여간다는 공감대가 형성되고 있다.
지난달 한은 금통위 의사록을 보면 한 금통위원은 "올해 성장률이 2.8%로 실현되면 최근 3년 연속 2.8% 성장률"이라며 "우리 경제의 잠재성장률이 추세적으로 하락하고 있는 점을 고려하면 GDP 갭은 0에 근사한 상태로 보아야 한다"고 말했다. "통화 완화적 기조에도 근원인플레이션이 낮은 것은 국내 경제의 수출과 내수가 약해지는 등 구조적인 문제 때문"이라는 의견도 나왔다.
이 총재의 연내 금리 인상 기회는 올해 10월, 11월 단 두 차례다. 시장에선 한은의 금리 인상 가능성을 아직은 낮게 보고 있다. 금융권 관계자는 "북한 리스크가 완전히 소멸하기 힘든 데다 경기 회복세가 뚜렷하지 않아 연내 금리 인상은 부담일 것"이라며 "이 총재가 금리 인하 기조에서 인상 방향으로 바꾸는 신호를 준 것만으로 소임을 다했다고 본다"고 말했다.
junoo5683@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