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9.25 (수)

증권가 "美 9월 FOMC 다소 매파적...향후 점진적 통화 긴축 기조 유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뉴시스

옐런 미 연준 의장 연임 여부 관심 집중


"금융시장 충격 제한 전망"

【서울=뉴시스】 이진영 기자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내달부터 9년 만의 자산축소를 시행하고, 점도표에서 연내 한 차례 추가 금리인상 가능성을 유지한 것을 두고 증권가에서는 '다소 매파적'이라는 분석을 내놨다.

그러나 재닛 옐런 연준 의장이 '낮은 물가가 미스터리'라는 발언을 하는 등 통화긴축 기조가 여전히 점진적이라는 점에서 금융시장 변동성 및 충격은 제한적일 것으로 분석했다.

연준은 현지시각 20일부터 이틀간 열린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기준금리를 연 1~1.25%로 동결한다고 결정했다. 또 다음달 100억 달러 규모를 시작으로 계속해서 보유자산을 축소한다고 발표했다.

연준이 양적완화 축소에 나선 것은 2008년 금융위기 이후 10년 만에 처음이다. 연준의 보유 자산은 2008년 금융위기 이전에는 1조 달러 미만이었지만 현재 4조500억 달러 규모로 늘어났다. 양적완화는 중앙은행이 발권력을 동원해 시중의 채권을 사들이는 비전통적인 경기부양 수단을 뜻한다.

이어 연준은 내년에는 보유 자산 축소 규모를 월 500억 달러로 확대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연준은 또 올해 한 차례 기준금리를 인상할 방침을 시사했다. 연준은 오는 12월 기준금리를 인상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증권사들은 9월 FOMC 결과가 예상보다 다소 매파적이라고 평했다.

공동락 대신증권 연구원은 "연준이 다음달부터 보유 자산 축소를 시작하겠다고 하고, 관심을 모았던 올해 중에 추가적인 금리 인상 여부에 대해서는 12월 금리인상이 가능하다는 것을 유지시켰다"며 "최근 거듭된 물가 전망에 대한 하향으로 금융시장으로 확산됐던 통화긴축 기조의 둔화나 속도 조절이 이뤄질 수 있다는 의구심을 차단하는 9월 FOMC 결과는 다소 매파적이다"라고 설명했다.

앞서 금융시장에서는 연준을 비롯한 글로벌 중앙은행들이 성장률 전망을 상향하면서도 물가 전망은 하향함에 따라 긴축 목적이 약화됐다는 의문이 제기됐다. 여기에 허리케인, 지정학적 불확실성 등이 겹치며 시장금리가 큰폭으로 하락하며 통화긴축 사이클이 진행되고 있다는 사실을 무색하게 만든 바 있다.

안영진 SK증권 이코노미스트도 "연내 추가 금리 인상 계획이 한발 물러날 것으로 전망됐던 것에 비해 그대로 유지됐기 때문에 시장은 일차적으로 FOMC 결과를 매파적으로 인식하고 있다"며 "실제 금리 선물시장에서 예측하는 12월 금리 인상 확률은 어제 56.9%에서 오늘 66.2%로 상승했다"라고 말했다.

안 이코노미스트는 "FOMC에서 성장 전망 상향을 비롯해 기업들의 설비투자가 회복된다고 하는 자신감이 있었다"며 "성명서에 나타난 어구 변화와 기자회견에서의 전반적인 어조는 통화정책 정상화에 대한 근거를 강화시키는 쪽이었다"라고 해석했다.

그러나 증권가 애널리스트들은 향후 연준이 점진적 통화긴축을 할 것이라는 기조를 유지한 것으로 분석했다.

SK증권은 미 연준이 여전히 '완화적' 긴축에 무게를 뒀다고 봤다.

안 이코노미스트는 "이번 FOMC 회의에서는 자산 축소를 10월부터 단행한다는 명시적 계획이 발표됐지만 이는 이미 6월에 가이드라인을 제시한 바가 있다"며 "이번에는 당초 계획과 부합하는 정도의 내용 정도다"라고 평했다.

또 "과거 버냉키 전 연준 의장에 따르면 자산 재투자 중단 및 축소는 금리 인상 절차보다 선행돼야 하는 낮은 강도의 긴축 단계라는 점 등을 감안할 때 긴축으로 인한 우려는 더해지지 않을 것"이라며 "향후 경로에 대해 긴축 강도가 강하지 않을 것이라는 의견을 유지한다"라고 밝혔다.

신한금융투자는 연준은 통화정책 정상화의 발걸음을 한발짝 더 내디뎠으나 향후 통화정책 방향은 완화적 기조를 유지했다고 해석했다.

윤창용 신한금융투자 수석이코노미스트는 "점도표의 중간값 기준으로 6월에는 2018년과 2019년 각각 세 차례 금리인상 가능성을 시사했다며 하지만 이번 조사에서는 2018년 세 차례, 2019년 두 차례 2020년 한 차례 인상을 예고했다"며 "이는 기준금리 인상 속도가 지연될 가능성을 나타낸 것"이라고 전했다.

이렇게 FOMC가 통화긴축이 여전히 점진적으로 이뤄진다는 점을 확인시켜줌에 따라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관측됐다.

공 연구원은 "예상보다 매파적 통화정책 이벤트였지만 내년에도 연준은 물가 목표에 미치지 못할 것이라는 전망이 제시됨에 따라 향후 긴축이 여전히 점진적으로 이뤄질 것을 시사했다"며 "단기적으로는 금리 및 각종 가격 변수들의 변동성이 확대되겠지만 물가 여건을 감안하면 점진적인 긴축에 대한 기대가 여전히 유효하다는 점에서 변동성 확대폭은 제한될 것"이라고 말했다.

서보익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이번 미 연준의 자산축소 결정은 사상 처음으로 시행되지만 시장의 충격은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진행될 것"이라며 "통화정책의 기저에는 미국 경제의 강한 회복 추세, 고용시장의 호조, 일시적 물가 부진 등 견조한 펀더멘탈이 뒷받침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오는 12월 한국이 미국보다 금리 수준이 더 높아지는 역전 현상이 나타날 가능성도 제기됐다.

서 연구원은 "이번 미 연준은 기준금리를 동결시켰으나, 12월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과 2018년 3차례의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은 유효하다"며 "다만 2019년 기준금리 인상이 3차례에서 2차례로 하향돼, 완만한 금리인상 경로를 강조하는 차원으로 해석, 이대로라면 2017년 12월에 한국과 미국 기준금리의 역전 현상이 예상된다"고 강조했다.

이어 "과거 한국과 미국 기준금리가 역전된 두 차례 시기의 국내 증시를 살펴보면 FOMC 회의를 앞두고 상승하던 코스피가 기준금리 역전이 확정된 이후에도 상승 추세를 유지하는 패턴을 보였다"며 "1999년 한·미 기준금리가 역전된 이후 2개월간 코스피 지수는 4.9% 상승, 그리고 2005년의 경우 10.8% 상승했다"고 덧붙였다.

연준이 통화정책 신중론을 견지, 글로벌 유동성이 내년 상반기까지 확대될 것이라는 관측도 나왔다.

김병연 NH투자증권 연구원 "연준이 12월 금리인상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았지만 옐런 의장이 '낮은 물가가 미스터리'라고 언급했다"며 "이번 FOMC가 금리인상 여지를 남긴 강경론이라기보다는 물가가 낮은 이유를 잘 모르므로 계속 지켜보자는 신중론으로 해석된다"라고 말했다.

이어 " 9월 FOMC 이후 12월 금리인상 가능성이 높아졌지만 매파적으로 해석해 주식 시장의 변동성 확대를 우려하기보다는 미국 경기가 완만하게 회복하는 가운데 물가 상황에 따른 조건부 통화정책 기조로 판단할 가능성이 높다"며 "연준을 제외한 주요국 중앙은행들의 양적완화를 감안하면 글로벌 유동성 확대 기조는 적어도 내년 상반기까지는 지속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다만 "12월 유럽중앙은행(ECB) 테이퍼링, 미 부채한도 협상, 미 금리인상 가능성이 맞물려 있다는 점에서 연말 금융시장의 긴장감은 높아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

mint@newsis.com

▶ 뉴시스 빅데이터 MSI 주가시세표 바로가기
▶ 뉴시스 SNS [페이스북] [트위터]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