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9.25 (수)

문 열리는 스마트팩토리 시대…한국 시장 파고드는 GE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GE 사장과 회장 잇달아 한국 방문

포스코·한화, GE 스마트 팩토리 플랫폼 도입

이데일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데일리 남궁민관 기자] 세계적인 디지털 산업기업 제너럴일렉트릭(GE)이 한국의 스마트 팩토리(공장) 시장을 공략에 포문을 열었다. 제조업을 기반으로 성장해 온 한국 경제의 특징상 최근 스마트팩토리 구축 필요성이 높아졌다. 때마침 문재인 정부도 4차 산업혁명 대응을 적극적으로 강조하고 나서면서 이 같은 GE 행보는 국내 관련 업계에 기회이자 위기로 작용할 전망이다.

20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GE는 포스코와 한화, 한국전력 등 국내 주요 기업들과 스마트팩토리 구축에 협력을 확대해가고 있다. 현재 전 세계 스마트팩토리 시장은 GE와 함께 지멘스가 주도하는 분위기다. 특히 GE는 최근 주요 공략 시장으로 한국을 지목하고 올해 협력관계 구축을 위한 뚜렷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한국 제조기업 막강”…포스코·한화와 이미 맞손

지난달 말 빌 루 GE 최고디지털책임자(CDO) 겸 사장은 한국을 방문해 “우리는 스마트팩토리 분야에서 가장 빠른 움직임을 갖춘 북미와 유럽에서 먼저 파트너십을 구축했으며 최근 중동 진출에도 성공했다”며 “한국은 강력하고 대단한 제조기업들을 갖고 있으며 이들이 세계 진출의 첫 파트너로 GE를 선택하길 바란다”고 강조하며 적극적으로 국내 기업에 구애를 펼쳤다. 올해 3월에는 제프리 이멜트 GE 회장이 한국을 방문해 권오준 포스코 회장,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 등을 만나며 한국 기업들과의 신뢰구축에 나서기도 했다.

이미 포스코는 권오준 회장의 주도 아래 GE의 스마트 팩토리 플랫폼인 ‘프레딕스(Predix)’를 벤치마킹한 ‘포스프레임(PosFrame)’ 플랫폼을 내놓았다. 해당 플랫폼은 2015년 포스코 광양제철소에 적용 중으로 향후 포스코 전 공장 적용뿐만 아니라 플랫폼 사업 전개까지 염두에 둔 상황이다.

한화는 그룹 차원에서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하고 스마트 팩토리 전환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이 역시 GE와 협력관계가 주요 동력으로 작용하고 있다. 해당 TF는 김승연 회장의 장남인 김동관 한화큐셀 전무가 주도적 역할을 맡은 것으로 알려졌다. 한화테크윈도 지난해 말부터 GE와 공장 및 설비를 디지털화하는 비즈니스 모델 공동개발에 나섰다. 한화토탈은 올해 1월 GE의 설비 예지보전(Predictive Maintenance)시스템인 ‘스마트 시그널(Smart Signal)’을 공장 내 핵심 설비에 도입했다. 또 포스코와 마찬가지로 GE 프레딕스 플랫폼을 벤치마킹해 자체 플랫폼 개발까지 이어간다는 방침이다.

한전은 올해 3월 GE와 고압직류송전(HVDC) 전력산업 인프라 구축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 나주 빛가람 에너지 밸리를 시험 삼아 프레딕스를 적용할 예정이다.

◇스마트팩토리 사업화, LS산전 유일…“선도모델 없다”

국내 기업은 스마트 팩토리 관련 기술 확보하기 위해 다양한 방식으로 나선 상황이지만, GE나 지멘스에는 한참 뒤처졌다는 평가다. LS산전이 국내 기업 중 유일하게 스마트 팩토리 구축과 관련 소프트웨어(SW)와 하드웨어(HW) 기술을 모두 확보하고 사업화했다. 그러나 구축 경험은 자사 및 협력사 공장 적용에 그치는 등 사업 성과가 아직 미미한 상황이다. 삼성SDS, SK C&C, LG CNS, 포스코ICT 등 시스템 통합(SI) 업체도 각기 자사 기술을 통해 서둘러 뒤쫓고 있는 모양새다.

스마트 팩토리 시장은 매년 커지고 있다. 시장조사기관 마켓앤마켓(Markets and Markets)에 따르면 전 세계 스마트 팩토리 시장은 2016년 462억달러(52조 1000억원)에서 2020년 566억달러(63조 8000억원)로 연평균 5.4%의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전문가는 국내에서 스마트 팩토리를 확산하려면 중소기업이 벤치마킹할만한 선도 모델 개발과 함께 정보와 프로세스 표준화가 필요하다고 봤다. 지난 15일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스마트 팩토리를 활용한 디지털 전환전략’ 정책 토론회에서 이진성 민관합동 스마트공장추진단 선임연구원은 “현재 우리 기업들의 스마트공장은 기초 또는 중간 1단계 수준이 대부분으로, 이 같은 현실을 고려해 중소기업이 벤치마킹할 수 있는 선도 모델이 필요하다”고 진단했고, 김병기 미라콤아이앤씨 이사는 “스마트 팩토리 구축은 정보 및 프로세스 표준화, 유·무선 네트워크 등 인프라 구축이 우선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이데일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