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ET투자뉴스]알루코_주요 매물구간인 4,400원선이 저항대로 작용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전자신문



위험대비수익률 -6.4로 하위권, 업종평균치보다 낮아

18일 오전 10시50분 현재 전일대비 1.38% 하락하면서 3,570원을 기록하고 있는 알루코는 지난 1개월간 10.97% 하락했다. 동기간 동안 주가의 변동성 지표인 표준편차는 1.7%를 기록했다. 이는 철강금속 업종내에서 주요종목들과 비교해볼 때 알루코의 월간 변동성이 작았던 만큼 주가등락률도 상대적으로 낮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최근 1개월을 기준으로 알루코의 위험을 고려한 수익률은 -6.4를 기록했는데, 변동성은 상대적으로 낮지만 주가가 약세를 보였기 때문에 위험대비 수익률은 부진한 모습을 나타냈다. 게다가 철강금속업종의 위험대비수익률인 -5.4보다도 낮기 때문에 업종대비 성과도 긍정적이라고 할 수 없다.

다음으로 업종과 시장을 비교해보면 알루코가 속해 있는 철강금속업종은 코스피지수보다 변동성은 높고, 등락률은 낮은 모습이다. 하락할 때 지수보다 탄력을 받고 있다는 의미이다.
전자신문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표준편차 수익율 위험대비 수익율
현대비앤지스틸 2.9% 2.4% 0.8
대한제강 2.5% -9.1% -3.6
한국철강 1.8% -13.5% -7.4
알루코 1.7% -11.0% -6.4
한국주철관 1.1% -6.3% -5.7
코스피 0.5% 2.1% 4.2
철강금속 1.0% -5.4% -5.4


관련종목들 혼조세, 철강금속업종 -0.07%
이 시각 현재 관련종목들이 혼조세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철강금속업종은 0.07% 하락하고 있다.
대한제강

11,500원

0 (0.00%)
현대비앤지스틸

12,950원

0 (0.00%)
한국철강

37,000원

▼150(-0.40%)
한국주철관

9,340원

▲50(+0.54%)


[재무분석 특징]
영업이익률 현재 5.65%로 업종평균 수준.PER은 11.93으로 업종평균보다 높으며, PBR은 1.29임.
업종내 시가총액 규모가 가장 비슷한 4개 종목과 비교해보면 알루코는 순이익대비 현재의 주가수준을 보여주는 PER과 자산가치대비 현재의 주가수준을 나타내는 PBR이 상대적으로 높은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알루코 현대비앤지스틸 한국주철관 한국철강 대한제강
ROE 10.8 9.5 2.0 5.5 8.7
PER 11.9 5.9 43.6 8.1 7.3
PBR 1.3 0.6 0.9 0.5 0.6
기준년월 2017년6월 2017년6월 2016년12월 2017년6월 2017년6월


외국인/개인 순매수, 기관은 순매도(한달누적)

9월7일부터 전일까지 기관이 7거래일 연속 동종목을 내다 팔았다. 4주간을 기준으로 보면 외국인이 매매관점을 매도에서 매수로 전환하면서 300,192주를 순매수했고, 개인들도 순매수량을 늘리며 693,815주를 순매수했다. 하지만 기관은 매도 관점으로 접근하면서 994,007주를 순매도했다.

투자주체별 누적순매수
전자신문

주가등락폭이 작아

최근 한달간 알루코의 상장주식수 대비 거래량을 비교해보니 일별 매매회전율이 0.35%로 집계됐다. 동기간 일평균 변동률은 0%로 장중에 주가변화폭는 매우 작았던 것으로 보인다.

외국인투자자의 거래참여 활발, 거래비중 22.07%

최근 한달간 주체별 거래비중을 살펴보면 개인이 63.48%로 가장 높은 참여율을 보였고, 외국인이 22.07%를 보였으며 기관은 14.44%를 나타냈다. 그리고 최근 5일간 거래비중은 개인 비중이 56.87%로 가장 높았고, 외국인이 24.17%로 그 뒤를 이었다. 기관은 18.94%를 나타냈다.

투자주체별 매매비중
전자신문

*기관과 외국인을 제외한 개인 및 기타법인 등의 주체는 모두 개인으로 간주하였음


주가와 거래량은 약세, 투자심리는 보통
현주가를 최근의 주가변화폭을 기준으로 본다면 하락폭이 상대적으로 큰 특징을 보이고 있고, 거래량 지표로 볼 때는 상승에 필요한 에너지가 부족한 상황이며 실리적인 측면에서는 투자자들은 안정적인 심리상태를 보이고 있고 이동평균선들의 배열도를 분석을 해보면 단기, 중기, 장기 이동평균선이 역배열을 이루고 있는 전형적인 약세국면에 머물러 있다.


주요 매물구간인 4,400원선이 저항대로 작용
최근 세달동안의 매물대 분포를 살펴보면, 현주가 위로 4,400원대의 대형매물대가 눈에 뜨이고, 이중에서 4,400원대는 전체 거래의 23.3%선으로 매매가 이가격대에서 비교적 크게 발생한 구간이라서 향후 주가가 상승할때 수급적인 저항대가 될 가능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고, 그리고 3,565원대의 매물대 또한 규모가 약하기는하지만 향후 주가가 방향을 잡으면 어느쪽으로도 지지 또는 저항매물대로 힘을 발휘할 수있다. 따라서 주가가 단기적인 조정을 전개하고 있는데요, 위로 제1매물대 저항구간인 4,400원대까지는 아직 거리가 상대적으로 멀고, 아래로 제2매물대 지지대인 3,565원이 더 가깝게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지금은 추가조정시에 동가격대에서의 지지가능성에 보다 더 큰 비중을 두는 시각이 합리적이고, 제2매물가격대에 주가가 지금 근접하고 있기 때문에, 이제부터는 3,565원대의 지지여부를 우선해서 세밀하게 확인할 필요가 있다. 현재위치에서 매물부담을 고려해보면, 3,565원대의 지지가능성과 4,400원대의 저항가능성을 중심으로 보는 것이 필요하다.


증시분석 전문기자 로봇 ET etbot@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