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ET투자뉴스]삼성바이오로직스, "또 하나의 퍼스트 …" 매수-삼성증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삼성증권에서 18일 삼성바이오로직스(207940)에 대해 "또 하나의 퍼스트 바이오시밀러 유럽 승인 권고"라며 투자의견을 '매수'로 제시하였고, 아울러 목표주가로는 340,000원을 내놓았다.

삼성증권 이승호, 박원용 애널리스트가 동종목에 대하여 이번에 제시한 '매수'의견은 삼성증권의 직전 매매의견을 그대로 유지하는 것이고 올해 초반의 매매의견을 기준으로 볼때도 역시 '매수'의견이 계속 유지되고 있는 상태이다. 그리고 최근 분기내 발표된 전체 증권사 리포트의 컨센서스와 비교를 해볼 경우에 오늘 발표된 투자의견은 대체적으로 평균치에 해당하는 수준으로, 이번 의견은 동종목에 대한 전체적인 흐름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목표주가의 추이를 살펴보면 과거 상향조정되어오던 패턴이 최근 두차례 연속 같은 수준에 머물고 있는 모습이다. 또한 전일 종가 기준으로 볼때 동종목의 현주가는 이번에 제시된 목표가 대비 4.1%의 추가상승여력이 있다는 해석이 제시되고 있다.


전자신문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Report briefing

삼성증권에서 삼성바이오로직스(207940)에 대해 "동사는 9월 15일 허셉틴 바이오시밀러 온트루잔트(Ontruzant) 대상 유럽 EMA CHMP 긍정 의견 수령(EMEA/H/C/004323). 11~12월 최종 판매 허가 전망. 유럽 허셉틴 특허 기만료, 최종 판매 허가 후 2018년초 유럽 출시 가능성 확대"라고 분석했다.

또한 삼성증권에서 "8월 16일 밀란(Mylan) 허셉틴 바이오시밀러 유럽 허가 신청 철회(EMEA/H/C/004346). 9월 15일 셀트리온 허셉틴 바이오시밀러 120일 답변서 제출(EMEA/H/C/002575), 향후 60일 내 주요 이슈(outstanding issue) 부재 시 EMA 180일 의견 표명, 210일 경과 시 CHMP 의견 표명, 즉 12월 CHMP 긍정 의견 가능성 존재"라고 밝혔다.

한편 "바이오 CMO 수주 총액 33억달러, 수주잔고 28억달러 확보, 15개 다국적 제약회사 대상 30개 이상 바이오 CMO 계약 추진 중. 3공장 완공 시 추가 수주 확보가 기대된다"라고 전망했다.
◆ Report statistics

목표주가는 2017년3월 230,000원이 저점으로 제시된 이후 이번에 발표된 340,000원까지 꾸준하게 상향조정되어 왔다.
한편 증권정보제공 업체인 씽크풀에 따르면 동사에 대한 컨센서스는 '매수'이고 목표주가의 추이를 살펴보면 직전에 한차례 상향조정된 후에 이번에 다시 목표가가 하향조정되는 모습인데, 이번 목표가의 하락폭은 다소 줄어든 추세이다.
<컨센서스 하이라이트>

컨센서스최고최저
투자의견매수매수(신규)HOLD(하향)
목표주가321,444360,000223,000
*최근 분기기준
오늘 삼성증권에서 발표된 '매수'의견 및 목표주가 340,000원은 전체 컨센서스 대비해서 대체적으로 평균치에 해당하는 수준으로, 이번 의견은 동종목에 대한 전체적인 흐름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되며 목표가평균 대비 5.8% 초과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되었다. 참고로 최근에 목표주가를 가장 공격적으로 제시한 유안타증권에서 투자의견 '매수(신규)'에 목표주가 360,000원을 제일 보수적인 의견을 제시한 유진투자증권에서 투자의견 'HOLD(하향)'에 목표주가 223,000원을 제시한 바 있다.


<삼성증권 투자의견 추이>
의견제시일자투자의견목표가격
20170918매수340,000
20170822매수340,000
20170725매수340,000
20170531매수260,000
20170426매수230,000
<최근 리포트 동향>
의견제시일자증권사투자의견목표가
20170918삼성증권매수340,000
20170915HMC투자증권매수360,000
20170911IBK투자증권매수(신규)330,000
20170831유안타증권매수(신규)360,000
(씽크풀에서 제공하는 컨센서스는 국내 전증권사에서 발표되는 기업분석 리포트 및 코멘트를 실시간으로 통계/분석처리되고 있습니다.)


증시분석 전문기자 로봇 ET etbot@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