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정부가 공공기관에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을 주문하면서 금융공기업들도 정규직 전환 작업을 담당할 전담조직을 구성하고 나섰다.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작업은 무기계약직의 처우 개선과 파견·용역직원들의 정규직 전환 여부를 놓고 노사, 직원간 갈등을 풀어내는 것이 관건이다.
IBK기업은행과 KDB산업은행은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을 위해 이달 중으로 노·사·전문가 협의기구를 구성하기로 하고 근로자 대표단을 선출할 계획이다. 이는 정부가 지난 7월20일 발표한 ‘공공부문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추진 계획’ 가이드라인에 따른 것이다.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는 지난 11일 '좋은 일자리 창출 위원회' 소속 '정규직 전환 추진단'의 1차 회의를 열었다. 신용보증기금도 정규직 전환심의위원회와 노·사·전문가 협의기구를 설립하고 논의에 착수했다. 주택금융공사와 기술보증기금 역시 무기계약직의 처우 개선과 파견용역직의 정규직 전환 여부 등을 논의 중이다.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작업은 임금체계와 근무조건에 대한 정규직 직원과 사측, 정규직 직원과 비정규직 직원간 이해관계를 조율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다. 특히 무기계약직의 처우 개선보다는 파견·용역직의 정규직 전환을 놓고 노사와 직원간 갈등이 커질 수 있어 합의점을 찾는데 시간이 필요할 전망이다.
금융공기업 한 관계자는 "무기계약직의 경우 기존에 노조가 구성돼 있는데 매년 근무조건 등 처우 개선을 노조와 논의해 왔다"며 "하지만 파견·용역직의 근로자 대표를 구성하는 건 이번이 처음이고 파견·용역직은 청원경찰, 경비원, 운전사, 청소원 등 여러 직종이 모여 있고 이해관계도 얽혀 있어 의견을 조율하기 쉽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공공기관 경영정보시스템 알리오에 따르면 올 상반기 기준 금융공기업의 파견·용역 인력은 IBK기업은행이 1765명(은행 집계 2000여명)이고 캠코 559명, KDB산업은행 222명, 수출입은행 179명, 신용보증기금 129명, 주택금융공사 143명, 기술보증기금 86명, 예금보험공사 46명 등이다. 이들은 대부분 경비용역, 식당 용역, 청소 용역 등으로 각 기관의 소속 외 인원으로 분류돼 있다.
파견·용역 근로자가 정규직으로 전환되면 기존에 치열한 공채 과정을 뚫고 들어온 직원들의 불만이 있을 수 있다. 더불어 파견·용역직은 소속 용역업체마다 업무, 임금체계, 복지 수준이 다 달라 합의점을 찾는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금융공기업 입장에서도 부담이 될 전망이다. 특히 기업은행은 정규직 전환 대상 파견·용역 근로자가 2000여명에 달해 향후 비용 문제가 생길 수 있다. 기업은행은 3000여명에 달하는 무기계약직의 정규직 전환도 진행 중이다.
금융공기업 한 고위 관계자는 "파견·용역직 근로자의 정규직화는 비용도 많이 들고 직원간 견해 차이도 있어 쉽게 결정할 문제가 아니다”라며 "가이드라인에 따라 파견·용역직원의 정규직 전환 문제는 계약 기간이 끝나는 시점에 논의할 수 있어 시간 여유를 두고 논의한 이후 결정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최동수 기자 firefly@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