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중국, 북한 계좌 송금 등 거래 중단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중국의 대형 국영은행들이 북한인 명의 신규 계좌 개설과 기존 계좌를 통한 송금 등 일부 거래를 중단했다고 교도통신이 9일 보도했다. 중국이 북한의 핵·미사일 개발 자금 차단에 본격적으로 나서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교도통신에 따르면 거래 제한 대상에는 북한 여권 보유자로 중국 주재 북한 당국자와 무역 관계자가 포함됐을 가능성이 크다. 이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에 따른 것이 아닌 중국 독자 조치다.

통신은 “북·중 접경지역인 지린(吉林)성 옌지(延吉) 등에선 중국의 4대 은행 중 중국은행, 중국건설은행, 중국농업은행 지점에서 북한인 대상 업무를 정지했다”면서 이는 “북한에 대한 국제제재 영향”이라는 담당자의 말을 전했다. 거래 제한은 지난해 시작돼 올해 4월부터는 북·중 무역 거점인 랴오닝(遼寧)성에서도 실시됐다고 전했다.

중국 세관 통계 등에 따르면 경유와 휘발유 등 원유 이외 주요 석유제품의 5~7월 대북 수출은 총 1만9700t으로, 전년 동기 대비 약 75% 감소했다. 통신은 북·중 소식통의 말을 인용, 은행 거래 제한에 따라 석유제품 대금 지급에 차질이 빚어지고 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국제사회도 잇따라 북한과 거리를 두고 있다. 올해 동남아국가연합(아세안) 의장국이자 북한의 3대 교역국인 필리핀은 지난 8일 유엔 안보리의 대북 제재 조치를 이행하기 위해 북한과의 교역을 전면 중단한다고 밝혔다. 필리핀은 지난해 북한에 2880만달러(326억원) 상당을 수출하고 1610만달러(182억원) 상당을 수입했다. 이번 조치는 미국이 북한과 거래하는 제3국에 대한 ‘세컨더리보이콧’을 검토하는 것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호주, 뉴질랜드 등 태평양 섬나라들의 협의체인 태평양도서국포럼(PIF) 회원국들도 8일 선박등록부에 올라 있는 북한 무역선이나 어선의 등록을 취소하기로 했다.

앞서 멕시코 정부는 김형길 주멕시코 북한대사를 ‘외교적 기피인물’로 지정하고 72시간 이내에 떠날 것을 지난 7일(현지시간) 명령했다. 이에 김 대사는 8일 “핵 프로그램은 멕시코와는 아무 상관 없는 일”이라며 “무지한 조치”라고 강력 반발했다.

<도쿄 | 김진우 특파원 jwkim@kyunghyang.com>

▶ 경향신문 SNS [트위터] [페이스북]
[인기 무료만화 보기]
[카카오 친구맺기]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