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0.01 (화)

미얀마 로힝야족 반군, 임시 휴전 선언…유혈사태 잦아들까(종합)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반군 '1개월 휴전' 선언했지만…정부군 입장발표 없어 실효성 의문

연합뉴스

로힝야 학살 문제로 아웅산 수치 비난 받아 (PG)
[제작 조혜인] 사진출처 EPA



연합뉴스

말레이시아 수도 쿠알라룸푸르의 미얀마대사관 앞에서 8일 이슬람계 소수민족 로힝야족 남자가 미얀마 정부군의 '만행'을 규탄하며 오열하고 있다. [AP=연합뉴스]



(자카르타=연합뉴스) 황철환 특파원 = 지난달 미얀마 경찰초소를 습격해 정부군의 유혈소탕전을 촉발한 이슬람 무장세력이 한 달간의 임시 휴전을 선언했다.

10일 현지언론과 외신에 따르면 '아라칸 로힝야 구원군'(ARSA)은 전날 성명을 내 이달 10일부터 내달 9일까지 일시적으로 휴전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이들은 "휴전 기간에는 이 인도적 위기로 인한 희생자들을 위해 모든 인도적 지원 기구가 인종·종교와 무관하게 구호를 재개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런 선언이 실효성이 있을지는 불투명해 보인다.

ARSA는 로힝야족 거주 지역인 라카인 주에 투입된 미얀마군도 이슬람 무장세력 소탕작전을 중단하고 이 지역에 대한 인도적 지원을 허용해야 한다고 촉구했지만 받아들여질 가능성이 크지 않기 때문이다.

실제 미얀마군은 10일 현재까지 ARSA의 휴전 선언과 관련해 입장을 내놓지 않고 있다.

ARSA는 작년 10월 라카인 주 국경지대 초소를 습격해 경찰관 9명을 살해함으로써 이번 사태를 촉발한 단체다.

당시 라카인 주에서는 8만7천여명의 로힝야족 난민이 발생했으며, 이들은 미얀마 군경이 로힝야족 민간인을 학살하고 방화와 성폭행을 자행하는 등 '인종청소'를 자행했다고 주장했다.

연합뉴스

미얀마군과 로힝야족 반군의 유혈 충돌로 주민들이 모두 떠난 미얀마 라카인주(州) 북부 고두 자라 마을에서 7일 방화로 추정되는 불이 나 민가가 불타고 있다. [AP=연합뉴스]



ARSA는 지난달 25일 본격적인 대(對) 미얀마 항전을 선포하고 경찰초소 30곳을 재차 급습했다.

정부군이 즉각 반격하면서 라카인 주에서는 이후 현재까지 약 400명의 사망자가 발생한 것으로 알려졌다.

로힝야족 거주지역에선 불교도의 보복으로 보이는 방화가 잇따랐지만, 정작 선공을 가한 ARSA는 정부군과 불교도 민병대를 상대로 특별한 저항을 보이지 않고 있다.

유엔난민기구(UNHCR)는 이로 인해 지난달 25일 이후 15일간 29만명에 달하는 로힝야족 민간인이 국경을 넘어 방글라데시로 탈출했다고 밝혔다.

작년 10월 1차 유혈사태 당시 발생한 난민까지 포함하면 미얀마내 로힝야족 전체 인구 110만명의 3분의 1 이상이 고향을 잃은 셈이다.

방글라데시에 들어선 난민들은 국경 인근 난민 캠프가 수용한계를 넘어서면서 굶주림에 시달리고 있다.

임시 거처를 세울 곳조차 마땅치 못한 데다 식량이 부족해 캠프 곳곳에선 구호단체가 제공한 식량과 물을 차지하기 위한 싸움이 벌어지는 것으로 전해졌다.

캠프 관계자들은 여성과 아이들이 지나가는 차량을 상대로 식량을 구걸해야 할 정도까지 상황이 악화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2017년 9월 9일 방글라데시 국경 지역 캠프에 도착한 미얀마의 이슬람계 소수민족인 로힝야족 난민들이 식량과 물을 요구하고 있다. [AFP=연합뉴스]



국제사회에선 이슬람권을 중심으로 미얀마 정부와 최고실권자인 아웅산 수치 국가자문역을 비난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오는 12일 미국을 방문할 예정인 말레이시아의 나집 라작 총리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을 만난 자리에서 로힝야 학살 문제를 거론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웃 인도네시아에선 미얀마 정부를 규탄하는 크고 작은 시위가 연일 이어지고 있다. 이스라엘 대법원은 미얀마에 대한 무기판매를 금지해야 한다는 현지 활동가의 청원을 받아들여 이달 말 이와 관련한 판결을 내릴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이스라엘은 미얀마에 전차 100여대와 군용 선박 등을 수출했고, 라카인 주 북부에서 미얀마군 특수부대원들을 위한 훈련을 진행한 바 있다.

하지만 미얀마 정부는 로힝야족 탄압 의혹을 전면 부인하고 있다.

2011년 군부의 민정이양 이후 미얀마와의 관계 개선을 진행해 온 미국도 이번 사태에 대한 개입을 꺼리는 모양새다.

새라 허커비 샌더스 미국 백악관 대변인은 트럼프 대통령이 미얀마 사태에 관심을 보였느냐는 질문에 "(대통령이) 상황을 알고 있다"고만 말했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이 당선 이후 수치 자문역과 대화를 나눈 적이 있는지 모르겠다고 덧붙였다.

미국 의회에선 미얀마와의 군사협력 강화 관련 법안이 논란거리가 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보수 성향 싱크탱크인 헤리티지 재단의 월터 로먼 아시아연구소장은 "미얀마군과 미군의 관계 정상화는 현재로선 절대로 해선 안 될 선택"이라면서 "이는 심각하게 잘못된 신호를 줄 수 있다"고 말했다.

hwangch@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