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0.02 (수)

"한국 금융위기 후 임금상승률 반토막…금리인상 제약요인"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미국·유럽 등도 올 실질임금 상승 부진…노동생산성 둔화·고령화 요인

(서울=연합뉴스) 최윤정 기자 =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노동생산성 둔화와 고령화 등으로 임금 상승률이 낮아진 점이 주요국 금리 인상을 제약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은행 최기산 과장과 박규리 조사역은 10일 해외경제 포커스에 게재된 '최근 주요국 임금 상승세 부진 원인 및 평가' 보고서에서 경기 개선으로 실업률이 크게 하락했음에도 임금은 오르지 않았다며 이처럼 밝혔다.

보고서를 보면 우리나라는 금융위기 전(2001∼2007년)과 금융위기 후(2014∼2016년) 평균 임금상승률이 7.3%에서 3.4%로 떨어졌다.

미국(3.2%→2.3%), 유로존(2.9%→1.5%)보다 하락 폭이 컸다. 일본은 -0.4%에서 0.6%로 올랐다.

올해 미국과 유로존, 일본 등 선진국 실질임금 상승률은 0% 안팎으로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인 2011∼2013년과 비슷하다.

이는 노동생산성 증가세 둔화, 기대인플레이션, 고령화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분석됐다.

노동생산성은 금융위기 이후 투자 위축과 세계 교역둔화 등으로 금융위기 전 만큼 높지 못하다.

기업들이 각종 불확실성 때문에 투자를 덜 하고 기술 혁신을 늦췄기 때문이다.

노동생산성 증가율은 금융위기 전후 미국은 1.9%→0.3%, 유로존 1.0%→0.6%, 일본 1.3%→0.1%, 한국 3.4%→1.4%(2016년 추정치)로 떨어졌다.

세계적으로 저물가가 이어지며 인플레이션 기대도 높지 않다.

금융위기 때 실업률이 급등해도 명목임금이 크게 조정되지 않은 점도 최근 임금상승 속도를 늦추는 요인이다.

고령화도 영향이 있다. 저임금 고령층 취업자 비중이 높아지며 전체 임금상승을 제한하고 있다.

미국에서 2013∼2016년 중 고령화로 인한 임금상승률 하락 폭은 연 평균 0.13%포인트로 추정된다.

고령층 고용 비중은 2007년과 2016년을 비교하면 한국은 18.0%→25.6%로 올라서 상승 폭이 가장 컸다. 미국은 17.6%→22.7%, 유로존 12.9%→18.7%로 커졌다. 일본은 27.9%→29.3%로 확대됐다.

유로 지역은 이민자 유입, 일본은 여성 노동참여 확대 요인도 더해진다.

연합뉴스


보고서는 앞으로 세계경기가 꾸준히 개선되면 기대인플레이션은 올라가겠지만, 노동생산성 저하 등 다른 구조적 요인은 여전하다고 지적했다.

경기회복세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딘 임금상승은 주요국 통화정책 기조 변경 검토 때 제약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7월 미국 공개시장위원회(FOMC) 의사록에는 "노동시장 유휴자원 축소에도 임금상승 압력이 낮고 저인플레이션이 나타나는 상황에는 금리 인상에 신중을 기할 필요"라는 언급이 나온다.

유럽중앙은행(ECB)도 6월 통화정책회의에서 "상당한 수준 유휴노동인력이 임금상승을 억제하면서 물가가 본격적인 상승국면에 진입했다고 보기 어려움"이라고 진단했다.

일본은행도 7월 금융정책 결정회의에서 "임금 및 가격 결정에서 기업이 신중한 태도를 보이면서 물가상승률이 미약한 모습"이라며 현재 완화적 정책 기조를 유지했다.

보고서는 경기회복에 따른 임금상승이 가계 소득과 소비여건 개선을 통해 경기회복을 강화하는 선순환 과정이 약화할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

고령층 취업과 연금정책 강화로 가계 소득 기반을 확충해주고 구조조정과 기술 혁신 등으로 노동생산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어디 일자리 없을까
(고양=연합뉴스) 이희열 기자 = 27일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2017 60+시니어 일자리 한마당'에서 시니어 구직자들이 채용 게시판을 살펴보고 있다.2017.6.27 joy@yna.co.kr



merciel@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