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국가융합망, 역대 최대 MPLS 도입···국산 vs 외산 혈투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전자신문

현 국가 통신망 구성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전자신문

국가융합망 개념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51개 부처 통신망을 통합하는 '국가융합망'이 단일 사업 역대 최대 다중프로토콜라벨스위치(MPLS) 장비를 도입, 국산과 외산간 혈투가 예상된다.

국가융합망 구축 추진단이 정보전략계획(ISP) 수립을 마치고 예비타당성조사를 앞두고 있다. 통상 예타 기간이 6개월 이상인 만큼 발주 시점은 내년 초로 예상된다.

전체 사업 규모는 1000억원 이상으로 절반 이상이 차세대 전송장비인 MPLS 장비 도입에 사용된다. 사업 규모뿐만 아니라 국가 행정기관의 중추망을 구축하는 사업으로 의미가 각별한 만큼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국산 장비업계는 외산(IP-MPLS)에 맞서 확실한 승기를 잡는 기회가 되길 바라고 있다. 국산 업체가 개발한 MPLS-TP는 공공분야뿐만 아니라 일반 기업에도 폭넓게 사용된다. 그러나 최근 서울도시철도공사(현 서울교통공사)를 비롯해 공공기관에서 IP-MPLS 도입이 늘어나는 추세다.

MPLS-TP는 국내외 업체 모두가 제공하지만 IP-MPLS는 외산 업체만 보유했다. 외산 업체는 인터넷 서비스와 연동 등 IP-MPLS의 강점을 앞세워 영업을 강화하고 있다. 국가융합망 사업을 수주할 경우, 외산이 단번에 전송장비의 주류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예상된다.

국산 장비업체 관계자는 “일부 공공기관에서 외산 IP-MPLS에 유리하게 발주가 나오는 등 불공정 사례가 늘고 있다”며 “공정한 입찰이 되도록 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국가 행정기관 통합망인 만큼 반드시 국산 제품을 도입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앞서 행정안전부 (옛 행정자치부)는 올 초 국가융합망 구축사업 ISP 착수보고회를 개최했다. 2019년까지 망 통합을 완료, 연 500억원 통신료 절감을 기대했다.

안호천 통신방송 전문기자 hcan@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