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음주측정기처럼 질병 조기 진단" KAIST 10대 특허기술 사업화 나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뉴시스

//


【서울=뉴시스】오동현 기자 = 환자의 날숨 속 가스농도를 측정해 질병을 조기에 진단할 수 있는 '헬스케어 사물인터넷(IoT) 가스센서' 등이 4차 산업혁명을 이끌어 나갈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KAIST는 내부교수들의 특허기술을 대상으로 학과장 및 변리사·벤처 투자자·사업화 전문가 등 10명 내외로 구성된 '평가·선정위원단'의 조사와 자문·평가를 통해 당장 사업화 가능성이 높은 '2017 KAIST 10대 핵심 특허기술'을 선정해 23일 발표했다.

김일두 신소재공학과 교수가 개발한 헬스케어 사물인터넷(IoT) 가스센서는 환자의 호흡을 통해 배출되는 날숨 속 가스를 측정해 질병을 조기 진단할 수 있다. 특정질병에 대해 음주 측정기처럼 간편하고 빠르게 진단할 수 있는 게 특징이며, 스마트 폰이나 모바일 헬스기기, 웨어러블 센서 등에 적용이 가능하다.

조광현 바이오·뇌공학과 교수가 개발한 '개인맞춤형 항암치료 기술'도 10대 특허기술로 선정됐다. 빅데이터와 인체네트워크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이 기술은 암세포 유전자 변이정보를 반영한 가상실험을 통해 약물효과를 예측하고 최적화할 수 있는 기술이다. 환자의 유전자 변이정보를 활용하므로 개인맞춤형 치료전략 수립이 가능하다.

조 교수는 "표적항암제 개발에 대한 중요성 및 시장규모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반면 암세포 특징이나 약제 내성부분을 반영하지 않은 기존연구는 치료효과가 낮기 때문에 약물효과를 예측할 수 있는 기술개발이 필요했다"고 개발동기를 밝혔다.

박오옥 생명화학공학과 교수가 개발한 인체 모션 감지용 고민감도 웨어러블 스트레인 센서는 실을 이용해 만들어졌기 때문에 기존의 금속으로 만들어진 센서와 달리 신축성과 민감도가 매우 높은 차세대 센서다. 쉽게 구부려지고 늘어나는 특성상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적용이 가능하고 인체에 무해해서 옷 또는 장갑 등 스마트 의류에도 응용할 수 있다.

명현 건설·환경공학과 교수가 개발한 실내·외 이동로봇의 자율주행을 위한 위치인식 및 지도작성 기술은 저가의 장비를 활용한 고성능 내비게이션 기술이다. 다양한 환경에 대응이 가능하고, 각 센서의 단점을 상호 보완할 수 있기에 동적인 환경에서도 평균 10㎝ 이내의 작은 오차로 정확한 위치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명 교수는 "기존 기술은 동적인 환경에서 위치인식에 대한 오차가 크고 실외의 경우 고가의 센서가 필요했다"며 "저가의 센서로 다양한 환경에 적용 가능한 위치인식 및 맵 작성기술이 각광을 받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홍성철 교수·전기및전자공학부 교수가 개발한 5G 빔포밍 IC 최적화 기술은 5G 이동통신을 위한 새로운 구조의 저전력·초소형·고선형 빔포밍 IC기술이다.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핵심 인프라인 5G 이동통신 기술로 IoT)및 5G 차량 사물통신(V2X) 등에 활용이 가능하다.

조동호 전기·전자공학부 교수가 개발한 5G 통신용량 증대를 위한 빔포밍 기반의 다중채널 무선자원 집적화 기술은 N배의 대용량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5G 이동통신의 핵심기술이다. 통신 속도 개선, 간섭 저하 및 송신 전력소모 감소 등의 효과가 기대된다. 자율 주행 통신을 위한 인프라로도 활용이 가능하다.

이밖에도 ▲하드웨어 기반의 칩 앤 플래쉬(Chip & Flash) 메모리 데이터 보안기술 ▲근적외선 뇌 영상 바이오 헬스케어 장치 ▲사용자의 감정에 따라 감성기반의 대화가 가능한 디지털 생명체 생성시스템과 제어방법에 관한 기술 ▲스마트 팩토리 구현을 위한 레이저-통합 정밀계측시스템 기술 등이 10대 특허기술로 선정됐다.

선정된 기술은 비즈니스 모델 개발을 통한 프로토타입 제작지원은 물론 국내·외 마케팅 우선 추진과 IP R&D 분석 등 학교로부터 다양한 지원을 받게 된다.

KAIST는 다음달 12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기업관계자 등 200여명을 초청해 10대 특허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과 함께 현장에서 기술이전에 관한 상담 등을 진행하는 대규모 설명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최경철 산학협력단장은 "이번 10대 특허기술에 대한 선정을 계기로 KAIST는 앞으로 국내·외 기업을 대상으로 기술이전 마케팅을 적극 추진하는 한편 성공적인 기술이전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온갖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odong85@newsis.com

▶ 뉴시스 빅데이터 MSI 주가시세표 바로가기
▶ 뉴시스 SNS [페이스북] [트위터]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