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韓, 반다이 건담 30% 소비…인기 좋은 건담 톱5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건담 프라모델(이하 건프라)은 국내 키덜트 모형 상품 중 가장 잘 팔리는 인기 상품 중 하나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실제 피규어와 프라모델을 한 데 판매하는 인기 키덜트 매장 하비팩토리의 건프라 판매 비중은 전체 상품 대비 50% 이상을 차지한다.

건프라 제조사 반다이가 공개한 자료를 보면, 2014년 출하된 330만개의 건프라 중 약 30%에 해당하는 100만개가 한국 시장에서 판매됐다. 나머지는 중국,대만,홍콩 등지에서 팔렸다.

국내에서는 어떤 건프라가 잘 팔릴까. 하비팩토리 매장 판매 자료 기준으로 6월부터 8월까지 약 3개월간 판매된 인기 건프라 상품을 판매 순위별로 정리해보면 ▲RG 시난주 ▲MG 저스티스 건담 ▲MG 건담 아스트레이 레드프레임 카이 ▲MG 풀아머 유니콘 건담 ver.Ka ▲HG 건담 단탈리온 등이 인기를 끌었다.

◆ RG 시난주

'MSN-06S 시난주'는 애니메이션 '기동전사 건담 UC'에 등장하는 모빌슈트로 네오지온의 잔당 세력인 소데츠키의 보스 '풀 프론탈'의 전용 기체다.

IT조선

리얼그레이드(RG) 건프라로 등장한 '시난주'는 모빌슈츠 외형적 특징인 금색 장식은 부품 자체가 금색으로 입혀져 있고 '시난주'의 빛나는 붉은색 몸체는 반짝이는 소재로 만들어져 사용자가 따로 도색 할 필요가 없는 것이 장점이다. 시난주의 금색 장식은 한 단계 더 높은 건프라 등급인 마스터그레이드(MG) '시난주'에서도 없던 것이다.

RG 시난주가 MG 시난주 보다 개선된 점은 또 있다. 시난주의 날개라 불리는 '플렉시블 슬러스터'는 닫히고 펴지는 움직임을 줄 수 있고 다리 부스터도 가동되도록 제작됐다. 디테일도 한층 향상됐다. 메카닉 디자이너 카토키 하지메 감수 아래 과거 출시된 시난주 건프라 보다 전체적인 디테일이 높아졌다. 가격은 4만5600원이다.

◆ MG 저스티스 건담

애니메이션 '기동전사 건담 시드(SEED)'에 등장하는 저스티스 건담을 바탕으로 만든 MG 저스티스 건담은 향상된 액션 가동성으로 애니메이션 속 저스티스 건담의 주요 움직임을 재현할 수 있으며, 공중 전투를 위한 비행체 '파툼'에 저스티스 건담을 탑승시킬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IT조선

건프라 패키지에는 저스티스 건담의 파툼 탑승 장면 재현을 위한 전용 스탠드가 포함돼 있다. 가격은 5만7600원이다.

◆ MG 건담 아스트레이 레드프레임 카이

대형 일본도를 주요 무기로 사용하는 '건담 아스트레이 레드프레임'은 멋진 외모로 오랜시간 인기가 높았던 상품이다. MG등급으로 출시된 '건담 아스트레이 레드프레임 카이(改)'는 팔다리 등 액션 가동 범위가 넓고 디테일이 뛰어나며, 일본도를 허리에 찰 수 있게 만들어졌다.

IT조선

건프라는 이미 단종된 상품이라 국내에서 구하기 어렵다. 아마존재팬을 통해 5400엔(5만6000원)선에 구매할 수 있다.

◆ MG 풀아머 유니콘 건담 ver.Ka

MG등급 건프라 '풀아머 유니콘 건담 ver. Ka'는 건담UC 설정 속에 존재하는 RX-0 프로토타입 유니콘 건담을 모형 상품으로 제작한 것이며, 인기 메카닉 디자이너 카토키하지메 기체 디자인을 다시 손본 것이 특징이다.

IT조선

MG 풀아머 유니콘 건담은 MG보다 한 단계 상위 제품인 '퍼펙트그레이드(PG)'에 육박하는 파츠 수를 자랑할 만큼, 꽉찬 부품 구성이 돋보인다. MG 건프라 중 전세계 상위 톱5에 들만큼 인기가 높은 제품이다. 가격은 9만6000원이다.

◆ HG 건담 단탈리온

하이그레이드(HG) 등급으로 제작된 '건담 단탈리온'은 애니메이션 '기동전사 건담 철혈의 오펀스' 공식 외전 '월강(月鋼)' 시즌 2에 등장하는 모빌슈트 '건담 단탈리온'을 모형화 한 상품이다.

IT조선

건프라는 기체의 주요 장비인 'T부스터'와 '하프 카울T'를 장착한 상태를 재현할 수 있으며 단탈리온이 사용하는 라이플과 검이 일체화 된 소드라이플은 변형되도록 설계됐다. 가격은 1만9200원이다.

IT조선 김형원 기자 otakukim@chosunbiz.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