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김현미 "버스 운행기록 실시간 전송받아 관리 추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세종=연합뉴스) 김동규 기자 = 졸음운전 방지대책의 하나로 버스 운행기록을 실시간으로 전송받아 관리하는 방안이 추진될 전망이다.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은 22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현안보고 회의에서 "버스 운행기록을 통신장비로 실시간 전송하는 시스템을 마련하려 한다"며 "노선버스와 전세버스 다 포함해서 하려 한다"고 말했다.

김 장관은 박완수 자유한국당 의원이 "지금도 버스 운행기록 제출을 의무화하고 있지만, 조작이 가능하다. 행정기관에서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질의하자 이런 구상을 밝혔다.

연합뉴스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
(서울=연합뉴스) 홍해인 기자 =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이 22일 오전 국회 국토교통위원회에서 열린 결산보고를 위한 전체회의에 출석해 질의에 답하고 있다. 2017.8.22 hihong@yna.co.kr



정부는 2014년부터 모든 사업용 차량에 대해 디지털운행기록계(DTG) 장착을 의무화했다.

DTG는 차량의 운행시간과 주행속도 등을 디지털로 기록하는 장치다. DTG 데이터 분석을 통해 운전기사의 휴식시간 준수 여부나 과속 여부 등을 점검할 수 있다.

현재 운전기사가 DGT에 있는 운행정보를 이동식저장장치(USB)에 담아 제출하면 태블릿PC에 설치된 단속 프로그램으로 법 위반 여부 등을 확인한다.

그러나 현장에서는 DTG가 고장을 일으키는 경우가 있고, 데이터 조작 가능성도 있어 관리가 완벽하게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

그의 이날 발언은 최근 발달한 사물인터넷(IoT) 기술 등을 이용해 DTG 정보를 실시간으로 정부 전산망에 자동 송출시켜 버스 운행기록을 꼼꼼히 관리하겠다는 의도로 해석된다.

김 장관은 재원 마련 방안에 대해서는 "업체들에 비용을 전가하지 않고 정부가 지원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연합뉴스

디지털운행기록계(DTG) 현장단속기 [연합뉴스 자료사진]
(화성=연합뉴스) 김동규 기자 = 18일 경기도 화성시 교통안전공단 자동차안전연구원에서 진행한 '버스 첨단안전장치 기능 시연회'에서 버스에 장착된 디지털운행기록계(DGT) 정보를 USB에 옮겨 교통안전공단 태블릿PC 현장단속프로그램으로 확인하고 있다. 2017.8.20. dkkim@yna.co.kr (끝)



dkkim@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