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한국당 "김상곤 부총리 논문 의혹, 교육부 수장 인정못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국회 교문위 전체회의서 한국당 의원들 집단 반발

뉴스1

김상곤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21일 서울 여의도 국회 본청에서 열린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제1차 전체회의에서 의원들의 질의에 답하고 있다. 2017.8.21/뉴스1 © News1 이동원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이후민 기자 =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는 21일 전체회의를 열어 업무보고와 결산보고를 진행하기에 앞서 자유한국당 의원들이 김상곤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의 인사청문 과정에서 불거진 학위논문 표절 의혹을 문제삼으면서 약 50분간 지연됐다.

한국당 소속 의원들은 이날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교문위 전체회의에서 김 부총리의 인사청문 과정에서 불거졌던 학위논문 표절 의혹과 관련해 자료제출 및 해명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는 내용의 문제 제기가 이어졌다.

나경원, 이은재, 이장우, 이종배 등 한국당 의원들은 교육부 업무보고와 결산보고에 앞서 의사진행 발언을 통해 김 부총리가 인사청문 과정에서 제기된 논문표절 의혹과 관련해 위증을 했다며 이에 관한 김 부총리의 입장을 먼저 들어야 한다고 요구했다.

먼저 이은재 의원은 "교육부의 핵심 기능 중 하나는 학술 진흥과 그와 관련한 연구부정 행위 방지"라며 "교육부 수장이 연구부정 행위와 관련이 있어 이와 관련한 정책집행에 면이 서겠나. 교육부가 그런 기능을 제대로 수행할 수 있을 지 의문이다"고 말했다.

이어 "교육부, 한신대, 연구재단에 자료요구를 통해 확인해봤지만 어느 한 곳도 관련 규정을 제시하지 못했고, 장관은 거짓 답변을 한 것"이라며 "이것은 위증에 다름 없다고 보는 바 위원회 차원에서 위증에 따른 고발 등 적절한 조치를 취해달라"고 요구했다.

이종배 의원도 "김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회 과정에서 석사학위 논문 의혹, 표절의혹에 대해서 문제를 제기해 이에 대해 청문회장에서 (김 부총리는) 서울대 진실위 조사에 협조할 의사를 밝혔다"며 "서울대 측에서도 진실위원장이 청문질의에 참여해 즉각적으로 조사에 착수한다고 계획을 발표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지금 진실위 명단이 어떻게 구성되고 있는지, 현재 어떻게 진행이 되고 있는지 서울대 측에 요구했으나 아직까지 답변이 없고 교육부에도 이와 관련된 사항을 자료요구했는데도 아직까지 제출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장우 의원도 "교육부는 (현안보고를) 차관이 대행해야 한다. (김 부총리를) 교육부장관으로 인정할 수 없다"며 "지난 청문회 때 논문 표절이 명확하게 드러났음에도 그에 대한 사과 한마디, 반성 한마디 없는 분이 교육부 수장이 되서 교육정책을 펼 수 있겠느냐"고 질타했다.

한국당 간사인 염동열 의원은 "당시 청문회는 위증이 있을 경우 처벌을 받겠다는 선서 속에 진행됐다"며 "장관께서 입장을 말씀해주시는 것이 회의를 하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며 김 부총리의 입장표명을 요구했다.

이날 애초 예정된 회의 시간보다 약 30분 가까이 지나 회의장에 들어선 한국당 의원들은 김 부총리에 관한 의사진행 발언을 이어가다 유성엽 위원장의 정리로 50여분 만에 회의 안건인 부처별 현안보고 등을 진행했다.

한편 김 부총리는 논문 표절의혹 지적에 대해 "석사학위 논문은 당시에 과정을 거쳐서 했는데 서울대 연구진실성 위원회에 현재 제안이 돼 있고 (조사) 결과를 저도 존중하겠다고 말씀드렸다"고 말했다.

또 "결과를 존중하겠다는 말씀을 다시 한 번 드리겠다"며 "위원님들 말씀하신 사항을 깊이 저도 마음에 새기고 장관직을 수행하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김 부총리는 앞서 6월29~30일 열린 인사청문 과정에서 학위논문 관련 표절 의혹이 일었고, 이에 한국당은 바른정당과 함께 김 부총리의 인사청문경과보고서 채택에 불참했다. 그러나 유 위원장의 직권 상정으로 채택돼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에 임명됐다.
hm3346@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