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AI 스피커 '웨이브'가 우리집에 왔다..그러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음원 듣기 등의 기능 편하지만 블루투스 스피커도 대체 가능

기존 스피커가 제공 못하는 '가상비서' 가치 제공해야

[이데일리 김유성 기자] 우리집 안에 ‘샐리’가 들어왔다. 샐리는 네이버·라인이 개발한 가상비서 솔루션 ‘클로바’의 애칭이다. AI스피커 ‘웨이브’를 통해 “샐리야”라고 부르자 “오랜만이네요”라고 대답했다. “로이 킴 음악 틀어줘”라고 말하자 “예, 알겠어요”라는 대답과 함께 ‘봄봄봄’이 ‘웨이브’에서 흘러 나왔다.

샐리의 대답은 생동감 높았다. “네, 알겠어요”라는 대답도 단순 기계음 뉘앙스가 아니었다. 음성합성 기술에 기반 한 목소리만큼은 합격점. 어린이집에 다니는 아들이 선생님이 왔냐고 물어볼 정도였다.

◇‘음악 듣기’ 편리..유료 콘텐츠 시장 확대 기회

웨이브 속 샐리가 말을 하거 알아듣자 주방에서 설거지하던 아내가 놀랐다. 말만 해도 음악이 나왔던 게 신기했던 것. 음질과 음량도 비슷한 가격대의 스피커 못지 않았다. 설거지나 집안일을 하다가 충분히 써 볼만 했다.

이데일리

그러나 음악은 채 다 듣지 못했다. 1분 30초 뒤 다른 음악이 나왔다. 음악도 콘텐츠 상품이기 때문에 돈을 지불하고 들어야 했다. 당연한 귀결이지만 다소 아쉬웠다. 네이버뮤직 정액 상품에 가입해야 웨이브를 통한 음악 듣기 서비스를 온전하게 이용할 수 있었다.

SK텔레콤의 AI스피커 ‘누구’도 마찬가지. ‘누구’의 애칭인 ‘아리’도 음악을 추천해줬다. 음성으로 가수 이름을 얘기하면, 해당 가수의 노래가 나왔다. 음원 스트리밍 서비스 ‘멜론’의 서비스에 가입돼 있지 않다면, 누구도 마찬가지로 ‘미리듣기’ 음원을 서비스해줬다.

AI스피커 확대와 함께 음성 콘텐츠 서비스 시장 확대가 가능한 부분이다. 실제 누구를 집안에 들여 놓고 고민했다. ‘멜론 유료 스트리밍 서비스에 가입할까.’ 그러나 이내 접었다. 매일 음악을 들을 자신이 없었기 때문.

웨이브로 로이킴 음악을 들으면서 같은 고민을 또 반복했다. 네이버뮤직에 몇 천원만 내면 로이킴 이외의 다른 음악도 온전히 들을 수 있다. 국내 콘텐츠 산업에 기여한다는 뿌듯함도 있다. 가격도 커피 전문점 아메리카노 한 두잔 가격이다.

그럼에도 마음을 접었던 이유는 집안 한 켠에 있는 블루투스 스피커에 있다. 스마트폰을 블루투스 스피커와 연동하고 유튜브를 틀어 놓으면 됐다. 웬만한 음악은 유튜브로 들을 수 있고 이를 블루투스 스피커로 들을 수 있는 ‘꼼수’가 있다보니 망설일 수 밖에 없었다. 유튜브가 영상은 물론 음원에서도 대체제 역할을 하고 있다.

게다가 스마트폰과 블루투스 스피커를 연동하면 AI스피커 못지 않은 기능을 뽐낼 수 있다. 물론 AI스피커의 대체제 역할이다. 스마트폰 속 클로바에 말을 걸자 집안 다른쪽에 있던 블루투스 스피커에서 샐리의 목소리가 나왔다.

◇블루투스 스피커에 없는 ‘가치’ 제공해야

아이들 밥을 먹이면서 샐리에 다시 물었다. “샐리야 오늘 날씨는 어때?” 샐리는 기다렸다는듯이 최고 기온과 최저 기온을 친절하게 일러줬다. AI스피커가 블루투스 스피커와 비교해 우위를 가질 수 있는 부분이다. 스마트폰 없이도 대화가 가능하다는 점은 AI스피커의 매력포인트다.

“오늘의 뉴스”라고 말하자, YTN 라디오 뉴스가 줄줄 나왔다. 영어로 대화를 하자고 하니까 중후한 중년부인의 목소리가 나왔다. 그리고 물었다. “What your name?”

이데일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다만 부족한 것은 데이터였다. 구체적인 질문으로 들어가면 돌아오면 답변은 옹색해졌다. 영화 ‘Her’에 나오는 ‘사만다’는 한참 후의 일일 것 같다. (사만다는 영화속 인공지능 OS로 주인공과 대화를 실감나게 나눈다.)

아리(‘누구’의 애칭)와 샐리, 애플의 시리까지 한국어 데이터가 부족했다. 음성 인식 기술이 많이 개선됐다고는 하나 ‘문제’는 데이터다. 우리나라 AI 스피커의 공통적 과제다.

대중적으로 잘 알려진 IT업체 최고경영자(CEO) 집무실에 방문한 적이 있다. 인상 깊었던 것은 그의 책상 옆에 놓여 있던 AI스피커였다. 그는 “처음에는 호기심으로 샀고 이것저것 많이 써봤는데 점차 안 쓰게 되더라”라고 말했다.

다른 AI스피커도 마찬가지다. 한국어 환경에서는 쓸만한 기능이 음악 듣기 외에 뚜렷하지가 않다. 다양한 사용자의 요구에 대응하기에는 아직 갈 길이 멀다는 뜻이다. 현 시점에서는 블루투스 스피커가 진짜 경쟁자가 아닐까.

블루투스 스피커가 제공하지 못하는 ‘가상비서’ 기능이 더 고도화될 때 AI스피커가 우리 거실과 주방에 자리잡지 않을까. 사물인터넷(IoT) 기능까지 붙어 ‘완벽한’ 가상비서가 되기까지는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해 보인다.

이데일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