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경남도의회 "KAI 수사와 MRO 사업자 지정은 별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뉴시스

경남도의회 "방산비리 이유로 MRO사업자 지정 차질 안 돼"


【창원=뉴시스】 김성찬 기자 = 경남 사천에 본사를 둔 한국항공우주산업(KAI)에 대한 검찰 수사와는 별개로 항공정비(MRO) 사업자 지정은 공정하게 차질없이 추진돼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박동식 경남도의회 의장과 정광식·박정열·정판용 등 도의회 경제환경위원회 소속 의원들은 16일 도의회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최근 방산비리 검찰 수사로 MRO 사업자 지정이 연기되거나 무산될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면서도 "방산비리는 반드시 근절돼야 하지만 방산비리수사가 항공 MRO 사업자 지정에 영향을 줘서는 안 된다"고 밝혔다.

이들은 "국내 항공정비수요는 연 2조5000억원 규모로 추정된다"면서 "MRO 산업에 대한 국가간 경쟁은 매우 치열해 국제시장의 무한 경쟁에서 우리의 신생 산업이 살아남으려면 입지조건이 절대적으로 유리한 경남 사천에 MRO을 지정·육성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KAI 본사 소재지인 사천시는 항공기 제조산업 집적도가 생산액의 79%, 사업체수 63%, 종사자수 64%로 절대적"이라며 "항공국가산단 지정, 매출액 기준으로도 국내 항공우주기업 대부분이 경남에 소재하는 등의 산업인프라를 갖추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사천시 용현면 일원에 2020년까지 1단계로 3397억원이 투입돼 164만㎡ 규모의 항공국가산업단지가 조성될 계획"이라며 "단계적으로 330만㎡까지 확대할 계획이어서 항공MRO 사업과 연계 시, 우리나라 항공산업 발전에 큰 시너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들은 "비리수사로 인해 사업자 선정을 미뤄 국익에 손실을 끼치게 할 수는 없다"면서 "정부는 MRO 사업자 선정에 있어 집적도, 투자효율성, 입지조건, 인력수급, 기술역량 등 당초의 선정기준을 철저히 준수해 조속히 사업자를 지정해 달라"고 요청했다.

kims1366@newsis.com

email

뉴시스 SNS [페이스북] [트위터]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