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3 (수)

文 앞에 선 롯데·신세계...꼬인 ‘유통 실타래’ 풀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재판 탓 신동빈 참석 ‘불투명’...신세계 정용진 참석 유력

‘사드-최저임금-복합쇼핑몰’ 삼중고 토로 가능성

“정부 얘기 들어볼 것...총수 건의 대한상의와 세부 조율 거쳐야”

이데일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데일리 박성의 기자] 오는 27~28일로 예정된 문재인 대통령과 기업인의 간담회가 사흘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유통업계에서는 재계 5위 롯데와 재계 11위 신세계그룹이 문 대통령에게 전달할 ‘건의사항’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중국의 고고도미사일 방어체계(사드) 보복과 최저임금 상승, 복합쇼핑몰 규제라는 ‘삼중고’에 둘러싸인 두 그룹이 일자리 창출을 조건으로 문 대통령에게 ‘SOS’를 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 롯데, 신동빈 참석 ‘미지수’...황각규 실장 대리참석 검토

문 대통령이 27∼28일 이틀간 청와대에서 일자리 창출 및 상생협력을 주제로 기업인과 마주앉는다. 문 대통령이 직접 주재하는 간담회인 만큼 행사의 격(格)을 맞추기 위해 각 그룹 총수가 참석할 것으로 보인다. 재계에서는 재판 중인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을 제외하면 대부분의 회장들이 참석의사를 밝힌 것으로 전해진다.

유통업계에서는 롯데와 신세계가 참석을 긍정적으로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신동빈 롯데 회장의 참석여부가 불분명하다. 신 회장의 ‘국정농단 관련 사건’ 재판을 맡은 형사합의22부(부장 김세윤)는 오는 26일과 다음달 2일을 제외하고 매일 재판을 연다. 사건의 수사범위와 기록이 방대해 휴정기 없이 재판이 이어지고 있다. 이 탓에 신 회장의 청와대 방문이 무산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신 회장의 참석이 어려워진다면 롯데에서는 신 회장의 두터운 신임을 얻고 있는 황각규 그룹 경영혁신실장의 참석이 유력하다. 황 실장마저 참석이 어려울 시에는 유통, 식품, 화학, 호텔 및 서비스 등 4개 신설 사업부문(BU)의 총괄 책임자 대리참석이 검토되고 있다. 신세계에서는 정용진 부회장의 참석이 유력하다.

◇ ‘삼중고’ 어떻게 풀어낼까...“대한상의와 조율 거칠 것”

이데일리

문 대통령이 재벌 총수들을 청와대로 불러들인 이유는 새 정부 경제철학을 기업인과 공유하기 위해서다. 즉, 문재인 정부의 경제 기조인 ‘J노믹스’를 본격화하기에 앞서 정부와 재계가 처한 각자의 상황과 고민 등을 터놓고 얘기해 보자는 취지다. 문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기업의 신규채용 확대와 비정규직 축소, 협력사와의 상생 강화 등을 주문할 것으로 보인다.

유통업계에서는 문 대통령이 기업 총수들을 불러들인 시기가 절묘하다는 평이 나온다. 앞서 복합쇼핑몰 규제 강화, 최저임금 인상, 법인세 인상 추진을 발표한 정부가, ‘기업 달래기’에 나섰다는 것이다. 롯데와 신세계는 ‘들으러 가는 자리’라며 신중한 태도를 보이고 있지만, 내부적으로 대통령 건의사항 등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데일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롯데와 신세계는 새 정부 들어 ‘가시밭길’을 걷고 있다. 최저임금 상승으로 각사가 운영 중인 편의점 ‘세븐일레븐’과 ‘이마트24’의 점주들이 인건비 부담을 호소하고 있다. 여기에 대형마트와 마찬가지로 복합쇼핑몰 역시 월 2회 의무휴업이 강제될 것으로 예고된 탓에, 내년도 롯데몰과 스타필드의 매출하락이 불가피해졌다.

롯데와 신세계는 중국의 사드보복 사태로 해외 마트사업까지 움츠러든 가운데, 유통업이 축소될 시 정부가 추진 중인 일자리 확대 정책에도 제동이 걸릴 수 있다는 우려를 전달할 것으로 알려졌다. 롯데가 향후 5년 간 7만명을, 신세계는 매년 1만5000명 내외의 신규 고용창출을 약속한 바 있다.

롯데 관계자는 “(문 대통령에게 전달할) 세부적인 안건은 대한상공회의소와 조율과정을 거쳐야 한다. 아직은 아무것도 확정짓지 못한 상황”이라며 “갑작스럽게 추진되는 간담회인 만큼 시간이 촉박한 것은 사실이다. 무언가를 요구하기에 앞서 대통령이 기업에 바라는 점이 구체적으로 무엇인지 등을 듣는 자리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