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한국 외교, 이제는 인도-태평양 시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앵커]
문재인 정부 100대 국정 과제에서 미국과 중국, 일본, 러시아 등 주변 4국에 치우친 외교 무대를 아세안과 인도 등으로 넓히겠다는 구상도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와 관련해 아시아-태평양 연안 국가는 물론 동남아 국가 연합과 인도를 하나의 권역으로 규정하는 인도-태평양 지역 개념이 주요 관심 대상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왕선택 통일외교 전문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문재인 정부 국정 과제로 제시된 동북아 플러스 책임공동체 형성.

미중일러 등 주변 4국에 묶여 있는 현재의 외교 활동 무대를 그 너머로 넓히겠다는 구상입니다.

특히 아세안과 인도를 주목하는 신남방 정책 구상은 동북아와 태평양 연안 국가는 물론, 동남아 국가들과 인도까지 포괄하는 인도-태평양 지역 개념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고든 플레이크 / 호주 미국·아시아 센터 소장 : 지난 5년, 6년 간 변한 것이 뭔가요? 지난 2년 연속으로 인도의 성장률이 중국을 앞질렀습니다. 인도가 진정으로 중요한 국가로 떠오르는 것입니다.]

인도의 급속한 경제 성장과 관련해 인도는 물론 일본과 호주가 적극적으로 협력 체제를 만들고 있고, 중국 역시 민감하게 대응하고 있습니다.

[고든 플레이크 / 호주 미국·아시아 센터 소장 : 중국의 일대일로 구상이 말하자면, 중국판 인도-태평양 정책입니다. 중국조차도 변화를 인정하고 있는 겁니다.]

우리 나라의 경우 남북 분단과 북핵 문제 해결에 대부분의 외교 역량을 투입해야 하는 처지지만, 외교 전략을 약간만 수정해도, 인도-태평양 지역에서도 주요 외교 주체가 될 수 있다는 진단입니다.

[고든 플레이크 / 호주 미국·아시아 센터 소장 : 한국이 (인도-태평양 지역 대응과 관련해) 문제가 약간 있다면 인식의 방향을 좀 바꿔야 한다는 거죠. 한국은 새로운 역량을 찾아낼 필요도 없고, 강조점만 약간 다르게 하면 됩니다.]

인도-태평양 지역 개념은 동북아시아나 아시아-태평양 지역 개념에 집중하면서 잘 보이지 않았던 아세안과 인도의 존재를 현실적으로 인식하도록 자극한다는 점에서 적극적인 관심을 받게 될 것으로 보입니다.

YTN 왕선택입니다.

▶뉴스 덕후들의 YTN페이스북

▶여러분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저작권자(c) YTN(Yes! Top 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