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5 (금)

"전력 수요전망 오차 커, 변동성 대처가 중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제8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전력수요 전망 토론회]]

머니투데이

'제8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전력수요 전망 토론회' 모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오는 2030년까지 전력수요가 당초 예상보다 11.3GW 규모 감소할 것이란 제8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초안과 관련, 전문가들은 "실제 수요전망치는 오차가 크다"며 "전망치 예측보다 변동성 대처 능력을 키우는 게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20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제8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수요전망 초안에 대한 전문가 토론회에서 이같은 논의가 이뤄졌다.

전력수급기본계획은 전기사업법 제25조, 시행령 제15조에 따라 매년 2년마다 수립한다. 지난 13일 8차 전력수급기본계획(2017~2031년) 수요전망 워킹그룹이 발표한 수요전망 초안에 따르면 2030년 최대 수요는 101.9GW로 예측됐다.

2년 전 수립된 7차(2015~2029년) 계획(113.2GW)보다 11.3GW 줄어든 수치다. 전력수급계획 수립 상 이렇게 최대수요전망치가 낮아진 건 처음이다. 이를 두고 일각에선 탈원전 정책의 '코드맞추기'가 아니냐는 의혹을 제기했다.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탈석탄 에너지 정책이 장기적으로 전력 수급 차질을 빚을 수 있다는 비판을 피할 수 있는 예측치였기 때문이다.

이날 모인 에너지 전문가들은 실제 수요 전망 예측치는 해마다 감소 추세에 있다며 수치 자체에 매몰될 필요가 없다고 조언했다.

윤기돈 전 녹색연합 사무처장은 "지난 2년간 수요 대비 실제 사용량은 2015년 -1.21%, 2016년 -2.49%에 달했다"며 "비록 2년 데이터지만 7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수요 전망보다 해마다 1.2% 실제 전기사용량이 감소되는 추세"라고 설명했다.

박종배 건국대 전기공학과 교수는 "향후 전력 수요에서 산업용이 차지하는 비중이 70%에서 40%까지 계속 떨어질 가능성도 있다"며 "최대 전력 예측치가 그렇게 크게 벗어난 건 아니지만, 수치 자체에 매몰될 필요는 없다"고 했다.

홍준희 가천대 에너지IT학과 교수는 "수요전망에 있어 10%~15% 오차는 중요 문제가 아니다"라며 "중요한 건 장기적으로 어디로 갈 것인가 방향성을 명확히 설정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홍 교수는 "전원믹스 재조정으로 시장에서 갈등 촉발과 문제 발생이 예상되는데, 이는 뺏고 뺏기는 게임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그는 "다양한 형태의 기술, 발전원들이 동행하는 형태로 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갈수록 늘어나는 변동성에 대비해, 정부가 리스크 관리에 신경써야 한다는 지적도 나왔다. 박호정 고려대 식품자원경제학과 교수는 "2010년도 이후 최대 전력의 변동성이 갈수록 증가하고 있다"며 "이 같은 변동성을 관리할 최적의 에너지포트폴리오를 고민해야 한다"고 했다.

향후 전력시장은 전력의 안정적인 공급(물량리스크)과 재정적 리스크(가격 리스크) 관리 기능을 동시에 높일 수 있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는 설명이다.

수요전망, 전력수급 계획을 정부에 맡기기보단 민간 자율로 하고 유연성을 확보해야 한다는 얘기도 나왔다. 조영탁 한밭대 경제학과 교수는 "변동성을 흡수할 수 있는 다양한 메커니즘이 있는데도 너무 정부 주도로 끌고가고, 요금제도도 경직적"이라고 비판했다.

조 교수는 "공급 안전성에 충격을 주지 않는 방향으로 시장에 유연성을 부여하는 개혁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상복 이투뉴스 기자는 "정부가 수급계획과 요금에 일제히 관여하는데, 변하는 시류에 따라가지 못하는 경향이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수급계획 주체를 전력거래소나 한국전력, 발전사들에게 넘기고 정부는 큰 틀에서 튜닝하는 정도로 가는 게 바람직하지 않나"라고 했다.

세종=정혜윤 기자 hyeyoon12@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