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가 사상 최고치를 갈아치우며 7개월 연속 상승 랠리를 펼치고 있는 가운데 미국 기준금리와 북한 리스크가 최대 변수로 떠올랐다. 국내 기업들의 실적 호조에 힘입어 장기적으로는 대세 상승 흐름을 이어갈 것으로 예상되지만 이들 변수가 자칫 성장 모멘텀을 저해할 수 있어 지나친 낙관론은 경계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10일 장동헌 행정공제회 최고투자책임자(CIO·사진)는 매일경제와 만나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기준금리 추가 인상은 '박스피(박스권+코스피)' 탈출의 가장 큰 걸림돌이 될 수 있다"고 밝혔다. 미국 연준은 앞서 지난 3월과 6월 두 차례에 걸쳐 금리를 1.00~1.25%로 인상했다. 올해 하반기 금리를 한 차례 더 올리면 우리나라와 미국 간 금리는 역전된다. 그만큼 외국인 투자자들이 국내 주식시장에서 이탈할 가능성도 높아지는 셈이다.
2005년 우리나라와 미국 간 금리가 역전된 적이 있다. 그해 7월까지 코스피에서 2조원가량 순매수했던 외국인은 금리 역전이 일어난 8월부터 연말까지 순매도로 돌아섰다. 그 규모는 무려 5조원에 달했다. 이듬해인 2006년과 2007년에도 각각 10조원, 24조원 이상의 외국인 자금이 빠져나갔다. 연내 미국 연준의 추가 인상 기조에 맞춰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에 무게가 실리는 것도 이 때문이다.
이와 함께 북한 리스크가 악재로 작용할 가능성도 언급했다. 장 CIO는 "미국과 중국이 북핵에 대한 해법을 찾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자칫 양국 간 갈등이 심화하면 우리나라 주식시장은 타격이 불가피해진다"고 강조했다. 미국은 최근 중국이 북한에 대한 추가 고강도 제재를 막으면 무역제재 카드로 맞대응하겠다고 경고했다. 그만큼 해외 매출 비중이 큰 코스피 상장 기업들엔 치명적이라는 평가다.
이 같은 지적은 증권업계에서도 나오고 있다. 고승희 미래에셋대우 애널리스트는 이날 "삼성전자 실적 발표로 2분기 기업 실적 개선 기대감이 높아졌으나 북한 리스크가 추가로 확대될 수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둬야 한다"며 "미국의 강경한 기조가 지정학적 리스크를 높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실제 증시는 안정적인 흐름을 보이고 있으나 원화 약세 속에 대외신인도 잣대인 신용부도스와프(CDS) 프리미엄은 이날 장중 작년 6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신헌철 기자 / 송광섭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