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21살 코스닥 28배 성장했지만…코스피는 '저 멀리에'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연합뉴스) 전명훈 기자 = 오는 7월 1일로 코스닥(KOSDAQ) 시장이 출범 21주년을 맞는다.

기술주 중심으로 코스닥 시장이 재편되면서 과거보다 시장 색깔이 분명해졌다는 평가도 나오지만, 올해 코스피와의 격차는 더욱 벌어졌다. '2부리그'라는 오명도 여전한 상황이다.

코스닥은 미국 나스닥(NASDAQ)을 본떠 만든 시장이다. 1996년 7월 1일 옛 한국증권업협회가 운영하던 주식 장외시장에 경쟁매매 방식이 도입되면서 정식으로 출발했다.

30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창립 첫해 7조6천억원이던 코스닥 시장의 시가총액은 이달 29일 현재 219조원으로, 21년 동안 28배가 불어났다.

코스닥 상장기업 수도 331개에서 1천228개로 늘어났다.

출범 첫해 일평균 20억원에 그치던 거래대금은 이번달(28일 기준)에 3조3천억원으로 성장했다. 무려 1천646배다.

1990년대 IT 벤처 붐에 힘입어 급속도로 덩치를 키운 코스닥은 2000년 3월 10일 2,834.40까지 치솟았다. 그러나 '벤처 거품'이 터지면서 그해 말에는 525.80으로 추락했다. 또 2008년에는 261.20까지 떨어졌다.

그 이후에도 코스닥은 500∼600선의 박스권에서 움직이다가 2015년 7월 780선까지 올랐다. 그러나 다시 뒷걸음질했다.

올해도 코스닥 지수는 5.79% 상승하는 데 그쳤다. 평소라면 낮은 상승률은 아니지만 코스피가 같은 기간 18.22% 급등한 것에 견주면 초라한 수준으로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코스피와 코스닥 지수의 격차는 역대 최대 수준으로 벌어졌다. 코스피가 장중 2,400선을 돌파한 28일에는 코스닥과 코스피의 지수 격차가 1,729.98에 달했다. 올 초만 해도 양 지수의 격차는 1,394.12였다.

다만 갈수록 코스닥 시장에서 우량주가 늘어나고 있는 점은 희망을 갖게하는 추이다.

시가총액이 1조원 이상인 코스닥 기업은 2010년 9개사에 불과했으나 현재는 셀트리온(13조9천억원) 등 22개사로 늘었다.

특히 이들 시총 상위주의 '색깔'이 기술주 중심으로 재편돼 코스닥 시장의 정체성이 강화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코스닥이 개인 투자자 위주로 움직인다는 점은 큰 한계로 지적된다. 올해도 코스닥 거래대금에서 개인 투자자 비중이 88.45%에 달했다.

게다가 올해 코스닥 시장에서 기관투자자의 일평균 거래대금은 1천198억원으로, 작년(1천244억원)보다 오히려 3.75% 줄어들었다.

그나마 외국인 투자자의 거래가 증가세를 보여 다행스러울 따름이다.

외국인의 올해 일평균 거래대금은 2천38억원으로, 작년(1천893억원)보다 7.7% 늘었다.

연합뉴스


id@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