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끝내 총파업` 닻 올린 노동계, "비정규직 철폐는 촛불명령"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의 "1년만 기다려달라"는 간곡한 부탁에도 노동계가 결국 '총파업' 깃발을 들었다. 민주노총은 신현수 국가정보원 기획조정실장에 대한 임명 철회를 요구했고 이날 총파업에 참여한 노동단체들은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등 요구사항을 촛불의 명령이라고 주장했다.

28일 민주노총은 서울 정동 민주노총 교육원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오는 30일 오후 3시 광화문광장에서 '최저임금 1만원 쟁취! 비정규직 철폐! 노조 할 권리 쟁취! 사회적 총파업! 지금당장!'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학교, 지자체 등 공공부문 비정규직 노동자와 청소노동자, 간접고용 노동자, 건설노동자 등 최대 4만 명이 참가할 것으로 민주노총은 예상했다. 최종진 위원장 직무대행은 "정부에 대한 국민적 지지가 높은 대통령 취임 직후에 당장 할 수 있는 부분을 하는 게 맞지 않느냐는 것이 우리의 판단으로 지금 시기가 골든타임"이라고 주장했다. 민주노총은 29일 서울 마포구 한국경영자총협회 앞에서 최저임금 인상을 반대하는 경총을 규탄하는 기자회견을 연다.

27일 오후 민주노총은 신현수 국가정보원 기획조정실장에 대한 임명 철회를 요구했다. 지난 2015년 차량 에어컨 업체 갑을오토텍에서 일어난 노무 문제에서 사측 변호인을 맡았다는 이유에서다. 신 실장은 당시 김&장 소속 변호사였다. 민노총은 지난 9일에도 마찬가지로 갑을오토텍의 사측 변론을 담당한 박형철 청와대 반부패비서관의 임명 철회를 주장했다. 이날 민주노총 총파업에 합류한 보건의료노조·금속노조·조선업종노조연대 등은 각각 서울역·광화문·청와대 주변 등에서 집회를 개최했다. 병원 노동자들 중심의 보건의료노조는 서울역에서 시청앞 광장까지 가두행진을 벌이면서 비정규직의 정규직화, 최저임금 1만원 등을 촉구했다. 보건노조는 결의문에서 "보건의료분야의 잘못된 제도와 관습을 바꾸라는 것이 바로 촛불시민의 명령"이라고 주장했다.

[유준호 기자 / 양연호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