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1 (월)

"4차 산업혁명 기술 활용하면 보장격차 줄일 수 있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4차 산업혁명과 인슈어테크 활용' 국제세미나개최

【서울=뉴시스】 김지은 기자 =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술을 활용하면 사망·장수·질병·사고 등 위험에 대한 보장격차를 줄일 수 있다는 제언이 나왔다.

보장격차란 보험사고 발생 시 경제적으로 필요한 실제 금액과 보험 등을 통해 마련해놓은 보장 금액의 차이를 의미한다.

보험연구원 황인창 연구위원은 28일 오후 대한상공회의소 국제회의장에서 열린 '4차 산업혁명과 인슈어테크 활용' 국제세미나에서 국내 보험산업의 4차 산업혁명 대비와 향후 과제를 발표했다.

연구원은 우리나라는 보장격차가 크게 발생하는 보장부족 문제에 직면해 있다고 지적했다. 가족이 사망하거나 병에 걸렸을 때 필요한 금액에 견줘 보험·저축을 통해 마련한 보장금액이 충분치 않다는 얘기다.

그러면서 보장격차는 경제적 의사결정에 의한 결과 이외에 보험시장 비효율성으로 인해 발생한다며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술을 활용하면 보험산업의 효율성을 제고해 보장격차 문제를 완화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황 연구위원은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술은 위험인식, 측정, 모니터링, 통제하는 능력이 정교화됨에 따라 소비자에게 맞는 개별화된 상품 및 서비스를 좀 더 이해하기 쉽고 저렴한 가격에 제공할 수 있게 해 보험수요를 증진시킨다"며 "4차 산업혁명시대에 새롭게 발생하는 리스크(사이버 리스크 등)에 대해 적절히 대응하지 못한다면 향후 보장격차가 더욱 심화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정보기술(IT)·금융 융합에 대한 규제 패러다임 전환에 한계가 있고 보험사들도 새로운 사업모형을 확립해 확장하는 회사는 거의 없는 형국이다.

황 연구위원은 "4차 산업혁명에 대한 국내 보험회사의 경영 대응이 새로운 사업모형을 확립·확장하는 수준까지 도달하지 못한 이유는 비용 대비 수익 관점에서 여전히 불확실성이 높기 때문"이라며 "4차 산업혁명시대에 적합한 규제환경을 확립해 보험산업 내 유연성과 다양성을 현재보다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보험규제와 관련해 보험업 인가, 보험회사 업무범위, 데이터 활용 및 보호, 상품 및 요율 체계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하다"며 "보험사는 산업구조 변화에 따라 고유 핵심역량을 파악해 목표 고객군을 설정해 차별화(또는 집중화)를 하는 전략적 포지셔닝(strategic positioning)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미국생명보험마케팅연구협회(LIMRA) 래리 하트숀 수석 부사장은 기조연설을 통해 보험산업에 미치는 변화를 살펴보고 "보험산업의 전반적인 대응 전략 마련 등을 통해 4차 산업혁명이 한국 보험사에 새로운 기회이자 도전 과제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세미나에서는 해외 보험회사의 인슈어테크(보험+핀테크) 활용사례도 공유했다.

일본 후코쿠생명은 사람과 AI(인공지능)의 조합을 통한 보험금 지급 문제 개선 활용 방안을 발표했고 박소정 서울대학교 교수는 인슈어테크가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는 분야는 판매채널로 디지털 채널을 통한 판매 및 확장 사례가 다수 있다고 설명했다.

kje1321@newsis.com

뉴시스 SNS [페이스북] [트위터]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