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1 (월)

아주대 서형탁 교수팀 '투명 전자 신소재' 개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뉴시스

아주대 서형탁 교수팀이 개발한 신소재


뉴시스

신소재 개발한 아주대 서형탁 교수


【수원=뉴시스】이승호 기자 = 아주대학교는 신소재공학과 서형탁 교수 연구팀이 두 개의 나노결정 산화물을 접합해 전도도 조절이 가능한 투명 전자 신소재를 개발했다고 28일 밝혔다.

두 소재가 맞닿은 계면에서 2차원 전자구름이 형성돼 전도도가 최대 10¹³배까지 발생하는 특이 현상을 이용한 것이다.

투명 전자 소재는 인듐주석산화물처럼 여러 성분을 혼합한 복합 산화물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복합 산화물 소재는 투명도의 한계, 유연 기판 적용에 적합지 않은 고온 공정, 자유로운 전도도 조절 등이 어려워 미래형 디스플레이와 IoT 센서에 적용하기가 쉽지 않았다.

서 교수팀이 개발한 신소재는 상온에서 형성한 나노결정의 인듐산화물(In2O3) 박막 위에 '원자층 증착방식(atomic layer growth, ALD)'으로, 알루미늄산화물(Al2O3)을 쌓아 올린 적층 구조로 돼 있다.

이 적층 구조에서 절연체인 두 소재가 맞닿은 두께 5nm(나노미터) 이하의 계면 부분에서 전도도가 비약적으로 증가해 전도체가 되는 비전형적인 현상이 일어난다. 계면에서의 전도도는 증착 전의 상태보다 최대 10¹³배까지 증가했다.

서 교수팀은 이 현상을 분석해 두 박막의 좁은 계면에 인듐산화물과 알루미늄산화물이 뒤섞여 전자구름이 나타나고 이곳에서 '국부적 2차원 전자 전도현상'이 발생한 것을 밝혀냈다.

'국부적 2차원 전자 전도현상'이란 아주 좁은 영역에 전자가 갇히면 전자 산란이 없어져 전류가 흐르게 되는 현상을 말한다.

이 외에도 신소재는 100%에 육박하는 완벽한 가시광 투과율과 1년 이상의 공기 중 노출에도 특성 저하가 없어 내구성도 크다.

서 교수팀의 신소재는 현재 사용되는 기술을 이용해 모든 한계를 극복하고 이론적 가능성을 실현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으며, 화학과 물리 분야 저널인 ACS Nano(인용지수=13.334) 최신호에도 이런 점이 소개됐다.

서 교수는 "신소재는 전도도의 조절이 자유롭고, 투명하고 유연해 전자소자의 핵심 소재로 적용할 수 있다"며 "무엇보다 기존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공정과 호환되는 방식이어서 즉시 상용화가 가능하다"고 말했다.

서 교수팀은 한국연구재단 지원으로 신소재를 개발했으며, 국내·외 특허 출원을 추진하고 있다.

jayoo2000@newsis.com³

뉴시스 SNS [페이스북] [트위터]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