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영아기 ‘침대 추락’, 취학기는 자전거 사고 '다발'···어린이 안전사고 유형 분석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뉴시스

/첨/어린이 안전사고


어린이 사고, '1~3세 사이 걸음마기'에 절반 이상 발생

【서울=뉴시스】김종민 기자 = 전 연령층 사고건수 중 어린이 사고가 차지하는 비중은 30% 이상으로 여전히 높아 보호자들의 주의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어린이 안전사고 비중은 총 인구 대비 어린이 인구비중(13.7%)이나 미국의 어린이 사고비중(27.3%)에 비해서도 높은 수치로, 우리나라의 어린이가 안전에 취약한 것으로 해석된다.

한국소비자원이 28일 최근 3년간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접수된 만 14세 이하 어린이 안전사고 동향을 분석한 결과, 최근 3년간 발생한 어린이 안전사고 총 7만5078건인 것으로 조사됐다.

발달단계별로는 막 걷기 시작하는 '1~3세 사이 걸음마기'가 전체의 절반 가까운(49.9%) 3만7419건을 차지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4~6세 유아기' 21.6%(1만6245건), '7~14세 취학기; 19.5%(1만4636건), '1세 미만 영아기' 9.0%(6778건)의 순으로 나타났다. 남아의 비중이 61.6%(4만6269건)로 여아는 38.4%(2만8786건)보다 20%포인트 이상 높았다.

움직임이 적고 항상 보호자의 감독 아래 실내에서 주로 머무는 '영아기'에는 몇 가지 상위품목에 의한 안전사고가 주로 발생하지만,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운동능력과 행동반경이 확장돼 위해품목과 사고유형이 다양해지므로 이에 유념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발달단계별 주요 위해품목 분석결과, '영아기'에는 '침실가구'에 의한 사고가 36.7%(2485건)로 가장 많았는데, 특히 침대 등의 '추락' 사고유형은 영아기 사고의 절반 가까운 48.9%를 차지했다.

막 걷기 시작하는 걸음마기에는 '추락' 사고가 감소하는 대신 '미끄러지거나 넘어지는 사고'가 급증하기 시작해 '바닥재' 사고가 15.9%(5963건)로 가장 많았다. 활동공간이 실내에서 실외로 확장되는 유아기부터는 점차 실외품목으로 인한 사고비중이 증가해 '취학기'에서는 '자전거'가 위해다발 품목 1위(10.6%, 1553건)로 꼽혔다.

한국소비자원은 "어린이가 있는 각 가정이나 관련 시설·교육기관은 어린이의 발달특성 및 사고 발생유형을 정확히 이해하고, 시설점검이나 안전교육 등 적절한 사고 예방조치를 취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또 어린이 눈높이에 맞는 안전교육을 위해 EBS의 인기 캐릭터인 '강철소방대 파이어로보'를 주인공으로 제작한 안전교육 애니메이션 DVD를 지난 5월 중 전국 초등학교에 보급하였고, 인터넷 사이트 '스마트컨슈머'를 통해서도 제공하고 있다며 널리 활용할 것을 당부했다.

jmkim@newsis.com

뉴시스 SNS [페이스북] [트위터]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