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3 (일)

지리산 방사 반달가슴곰, 경북 김천까지 80㎞ 이동 확인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국립공원관리공단 "2015년 방사된 수컷…이례적 장거리 이동"

연합뉴스

[그래픽] 지리산 방사 반달가슴곰, 경북 김천까지 80㎞ 이동 확인



연합뉴스

포획한 반달가슴곰
(김천=연합뉴스) 15일 경북 김천시 대덕면 수도산에서 대구지방환경청과 국립공원관리공단 종복원기술원 관계자가 멸종위기야생생물 1급이자 천연기념물 329호인 반달가슴곰 1마리를 포획해 옮기고 있다. 종복원기술원은 곰 유전자를 분석해 야생개체인지 인공 사육 개체인지 밝힐 예정이다. 2017.6.15 [대구지방환경청=연합뉴스] sds123@yna.co.kr



(세종=연합뉴스) 김범수 기자 = 최근 경북 김천 수도산에서 포획된 반달가슴곰이 지리산에서 활동하던 수컷으로 판명됐다.

환경부(장관 조경규)와 국립공원관리공단(이사장 박보환)은 지난 14일 경북 김천 수도산에서 포획된 반달가슴곰을 조사한 결과 이같이 확인됐다고 21일 밝혔다.

국립공원관리공단 종복원기술원은 포획된 반달가슴곰이 유전자 검사 결과 '우수리 아종'인 것으로 드러났다고 설명했다.

우수리 아종(Ursus thibetanus ussuricus)은 러시아 연해주 우수리 지역과 중국 동북부 및 한반도 지역에 서식하는 유전적으로 같은 종이다.

종복원기술원은 또 곰의 귀에 난 상처가 아문 흔적을 발견, 이 개체가 2015년 태어나 10월 27일 지리산에 방사된 KM-53(수컷)이라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 곰은 지리산 북부 능선 일대에서 활동했다. 그러다 지난해 9월 위치 발신기에 이상이 생기면서 실시간 추적에 차질이 빚어졌고, 공단 측은 헬기 등을 통해 위치를 추적해왔다.

공단은 반달가슴곰이 지리산국립공원부터 백두대간을 따라 광주대구고속도로와 대전통영고속도로, 덕유산국립공원 등을 거쳐 김천 수도산으로 이동한 것으로 추정했다.

환경부는 그동안 야생동물 이동에 장애요인이었던 고속도로에 교량이 설치되고 사치산 등에 생태통로가 설치돼 반달가슴곰의 장거리 이동이 가능했던 것으로 보고 있다.

경북 김천에서 포획된 반달가슴곰의 추정 이동 거리는 80km 이상에 달해 이례적이라는 게 공단 측 설명이다.

그동안 방사된 반달가슴곰들이 보통 반경 15km 이내에서 활동하는 행동 패턴을 보였다.

미국 학계에서는 수컷 흑곰의 분산 거리가 0.6∼80km로 보고된 바 있다.

환경부와 국립공원관리공단은 반달가슴곰이 지리산 권역을 벗어나 이동할 경우에 대비해 체계적인 추적·모니터링 체계를 만드는 동시에 안전사고 예방책 마련에 나서기로 했다.

특히 양봉이나 농작물 피해 예방책을 비롯해 곰과 마주쳤을 때 종을 치거나 호루라기를 부는 등의 대처 요령도 적극 알릴 계획이다.

bumsoo@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