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안보리, 7차 대북제재 만장일치 채택…북한 블랙리스트 확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매일경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AFP=연합뉴스 자료사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가 2일(현지시간) 북한의 잇따른 탄도미사일 도발에 맞서 7차 대북제재결의를 채택했다. 유엔이 내놓은 7차 대북 제재결의안이다.

안보리는 이날 오후 뉴욕 유엔본부에서 15개 이사국이 참석한 가운데 회의를 열고 새 대북제재결의 2356호를 채택했다. 회의 시작과 동시에 진행된 표결에서 15개 이사국 대사들은 전원 찬성 의사를 밝혔다.

유엔이 신규 대북제재결의안을 채택한 것은 지난해 11월 30일 2321호 이후로 6개월 만이다. 이번 결의안에서는 개인 14명과 기관 4곳이 블랙리스트 명단에 추가됐다. 블랙리스트 명단이 포함되면 자산동결과 해외여행에 제한을 가해진다.

블랙리스트에 추가된 4개 기관은 고려은행과 북한 전략로켓사령부, 무기거래 관련 업체인 강봉무역과 조선금산무역 등이다. 개인으로는 국외에서 간첩 활동을 하는 조일우 정찰총국 5국장을 비롯해 김철남 조선금산무역 대표, 김동호 베트남 단천상업은행 대표, 박한세 제2경제위원회 부위원장, 백세봉 전 제2경제위원장, 조용원 노동당 조직지도부 부부장, 박도춘 전 군수담당 비서, 리재일 당 선전선동부 제1부부장 등이 제재 명단에 올랐다.

이에 따라 북한의 핵·미사일 프로그램과 관련해 유엔의 제재대상은 총 개인 53명, 기관 46곳으로 늘어나게 됐다.

대북 원유공급 금지와 노동자 국외송출 금지 등 초강력 제재 카드는 포함되지 않았다. 하지만 중거리급 탄도미사일 발사에 대해서도 안보리가 처음으로 제재에 나섰다는 점은 의미가 있다는 분석이다.

지금까지 채택된 대북 제재안은 모두 핵실험 또는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도발에 대한 응징 차원이었다. 지난해 4차 핵실험 후 채택된 2270호 결의가 유엔의 비군사적 제재로는 역대 최강으로 평가되며, 5차 핵실험 이후에는 기존 제재의 틈새(loophole)를 메우는 2321호를 채택한 바 있다.

[디지털뉴스국]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