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금융통화위원회는 25일 오전 서울 중구 한은 본관에서 전체회의를 열고 이달 기준금리를 현 수준인 연 1.25%로 유지해 통화정책을 운용하기로 했다.
앞서 한은은 2014년 8월과 10월 두 차례 금리 인하를 단행한 후 5개월 만인 2015년 3월 금리를 사상 처음 1%대인 1.75%로 떨어뜨렸다. 이후 같은해 6월 중동호흡기증후군(MERS) 감염 사태가 터져 또다시 금리를 1.50%로 인하했고 지난해 6월에도 다시 0.25%포인트 내려 현재의 1.25%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이날 한은 금통위의 결정은 취약 산업 기업 구조조정과 소비심리 부진으로 인한 경제성장 둔화세 지속 등 금리인하 요인이 있음에도 미국의 정책금리 인상 가능성, 새 정부의 확장적 재정정책에 의한 경기회복 기대 등이 금리인하에 대한 필요성을 완화시킨 것으로 풀이된다.
앞서 지난 11일 한국금융투자협회가 국내 채권시장 전문가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100%가 기준금리 동결을 전망했다.
김진평 삼성선물 연구원은 "지난달 경제 전망의 상향조정에 반영되었듯이 금통위의 경기인식은 긍정적이며 수출 호조, 내수 심리 회복이 지속되고 있다"며 "경기인식이 변하지 않아 기준금리를 동결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국내 경제를 보면 문재인 새정부는 확장적 재정정책으로 경기부양을 이끌 것임을 암시했다. 때문에 경기회복 등에 대한 기대로 한은이 금리인하 카드를 꺼낼 필요성이 많이 줄었다는 분석도 나온다.
각종 대책에도 1300조원을 넘어선 가계부채 또한 금리인하의 부담으로 자리잡고 있다. 한국은행은 지난 23일 1분기 말 가계신용 잔액이 1359조7000억원(잠정)으로 전분기 말에 비해 17조1000억원(1.3%) 증가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지난해 4분기 46조1000억원이 늘어난 것과 비교할 때 증가 폭이 다소 둔화됐지만 평년과 비교하면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미 연준이 금리를 추가로 더 올릴 것으로 예상되면서 한-미 간 금리 격차가 좁아질 수 있다는 점도 한은의 선제적인 통화정책 결정에 나서기 어렵게 만드는 요인이다. 24일(현지시간) 연준이 공개한 5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의사록에 따르면 연준위원들은 "경제지표가 예상대로 나온다면" 기준금리를 조만간 인상할 것으로 나타났다. 앞서 연준은 지난 3월 기준금리를 0.75~1.00%로 0.25%포인트 인상했으며, 올해 추가 두 차례 금리 인상을 예고한 바 있다.
시장은 새 정부 들어 처음 열리는 회의인 만큼 금통위 정례회의 후 열리는 기자간담회에서 이주열 총재가 어떤 발언을 할 지 주목하고 있다. 다만 구체적인 경제정책이 나오지 않은 상황에서 주목할 만한 입장변화를 기대하기는 어렵다는 예상이 우세하다.
[디지털뉴스국 김진솔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