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ET투자뉴스]현대건설, "해외에서 불어오는 …" 매수(신규)-BNK투자증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BNK투자증권에서 25일 현대건설(000720)에 대해 "해외에서 불어오는 봄바람"라며 투자의견을 '매수(신규)'로 제시하였다. 아울러 6개월 목표주가를 66,000원으로 내놓았다.

BNK투자증권 이선일 애널리스트가 동종목에 대하여 이번에 제시한 '매수(신규)'의견은 BNK투자증권에서 11개월만에 매매의견을 새롭게 조정하는 것으로 직전 매매의견과 동일한 것이다. 그리고 최근 분기내 발표된 전체 증권사 리포트의 컨센서스와 비교를 해볼 경우에 오늘 발표된 투자의견은 대체적으로 평균치에 해당하는 수준으로, 이번 의견은 동종목에 대한 전체적인 흐름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한편 6개월 목표주가로 제시한 66,000원은 직전에 발표된 목표가 45,000원 대비 46.7% 상향조정 된 것이고, 목표주가의 추이를 살펴보면 한동안 같은 수준을 유지하다가 이번에 목표가가 상향조정되는 모습이다. 또한 전일 종가 기준으로 볼때 동종목의 현주가는 이번에 제시된 목표가 대비 37.4%의 추가상승여력이 있다는 해석이 제시되고 있다.


전자신문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Report briefing

BNK투자증권에서 현대건설(000720)에 대해 "해외에서 현대건설의 최대 강점은 다변화된 사업구조에 있다. 역대 해외 수주 실적을 보면 토목, 건축, 발전/전기, 화공플랜트 등 해외 건설시장 4대 부문이 1/4씩 황금분할을 이루고 있다. 지역 및 공종을 가리지 않는 수주능력은 금년과 같은 해외건설 반등 국면에서 빛을 발할 것이다"라고 분석했다.

또한 BNK투자증권에서 "해외 신흥시장이라고 불리는 베네수엘라, 러시아, 우즈베키스탄에 11.2조원에 달하는 미착공 프로젝트를 보유하고 있다. 이들 프로젝트 중 규모가 큰 베네수엘라와 러시아(합해서 9.6조원) 사업이 금융 문제를 해결하고 각각 상반기 및 하반기에 착공될 전망"라고 밝혔다.

한편 "작년 말 수주잔고 기준 현재 시가총액이 0.14배에 불과하다. 국내외 경쟁사들은 대부분 0.2배~0.5배 수준이다. 미착공잔고 등 저평가요인 해소가 임박했으므로 Valuation 매력이 주목할 시점"라고 전망했다.
◆ Report statistics

BNK투자증권의 동종목에 대한 최근 1년동안의 투자의견은 전체적으로 큰 변화없이 유지되고 있다.
한편 증권정보제공 업체인 씽크풀에 따르면 동사에 대한 컨센서스는 '매수'이고 목표주가는 최근 2회연속 목표가가 높아지다가 이번에는 직전목표가 수준까지 하향반전되는 추세이다.
<컨센서스 하이라이트>

컨센서스최고최저
투자의견매수매수매수
목표주가60,94370,00052,000
*최근 분기기준
오늘 BNK투자증권에서 발표된 '매수(신규)'의견 및 목표주가 66,000원은 전체 컨센서스 대비해서 대체적으로 평균치에 해당하는 수준으로, 이번 의견은 동종목에 대한 전체적인 흐름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되며 목표가평균 대비 8.3% 초과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되었다. 참고로 최근에 목표주가를 가장 공격적으로 제시한 하나금융투자에서 투자의견 '매수'에 목표주가 70,000원을 제일 보수적인 의견을 제시한 교보증권에서 투자의견 '매수(유지)'에 목표주가 52,000원을 제시한 바 있다.


<BNK투자증권 투자의견 추이>
의견제시일자투자의견목표가격
20170525매수(신규)66,000
20160628매수(유지)45,000
20160622매수(유지)45,000
<최근 리포트 동향>
의견제시일자증권사투자의견목표가
20170525BNK투자증권매수(신규)66,000
20170524하나금융투자매수70,000
20170523SK증권매수(유지)66,000
20170523메리츠종금증권매수59,000
(씽크풀에서 제공하는 컨센서스는 국내 전증권사에서 발표되는 기업분석 리포트 및 코멘트를 실시간으로 통계/분석처리되고 있습니다.)


증시분석 전문기자 로봇 ET etbot@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