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ET투자뉴스]GS건설, "이익 및 수주 모멘…" 매수(신규)-BNK투자증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BNK투자증권에서 25일 GS건설(006360)에 대해 "이익 및 수주 모멘텀 그리고 Valuation까지 최고"라며 투자의견을 '매수(신규)'로 제시하였다. 아울러 6개월 목표주가를 50,000원으로 내놓았다.

BNK투자증권 이선일 애널리스트가 동종목에 대하여 이번에 제시한 '매수(신규)'의견은 BNK투자증권에서 11개월만에 매매의견을 새롭게 조정하는 것으로 직전 매매의견과 동일한 것이다. 그리고 최근 분기내 발표된 전체 증권사 리포트의 컨센서스와 비교를 해볼 경우에 오늘 발표된 투자의견은 전체의견에 수렴하고 있어, 이번 의견은 시장의 평균적인 기대감이 객관적으로 표현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한편 6개월 목표주가로 제시한 50,000원은 직전에 발표된 목표가 38,000원 대비 31.6% 상향조정 된 것이고, 또한 전일 종가 기준으로 볼때 동종목의 현주가는 이번에 제시된 목표가 대비 62.6%의 저평가 요인이 존재한다는 해석이 제시되고 있다.


전자신문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Report briefing

BNK투자증권에서 GS건설(006360)에 대해 "현재 주요 6대 건설사 중 시가총액이 가장 적다. 수주 규모나 외형은 상위권이지만 저가 해외공사 영향이 상대적으로 컸기 때문이다. 이제 저평가 요인이 사라지는 순간 이익모멘텀과 함께 Valuation 매력도 급부상할 것"라고 분석했다.

또한 BNK투자증권에서 "동사는 정유 플랜트 부문에서 자타가 공인하는 세계 최고 수준의 EPC 플레이어다. 유가 반등 초기 국면인 올해와 내년 해외건설시장에서는 정유 프로젝트가 주력 상품이 될 것이다. GS건설은 이미 10억달러 규모의 UAE 루와이스 정유공장 복구시설을 사실상 수주했다"라고 밝혔다.

한편 "주택부문은 지난 2년간 분양물량만으로도 내년까지 최대 실적을 경신할 것이다. 주택시장에서 탁월한 브랜드파워로 분양가격과 분양률 두 마리 토끼를 다 잡고 있다. 이에 따라 주택부문 수익성이 당초 예상을 훨씬 뛰어 넘고 있으며 앞으로도 그 추세가 지속될 것"라고 전망했다.
◆ Report statistics

BNK투자증권의 동종목에 대한 최근 1년동안의 투자의견은 전체적으로 큰 변화없이 유지되고 있다.
한편 증권정보제공 업체인 씽크풀에 따르면 동사에 대한 컨센서스는 '매수'이고 목표주가는 직전에 한차례 하향조정된 후에 이번에 다시 목표가가 상향조정되었는데 이는 전고점보다는 낮은 수준이다.
<컨센서스 하이라이트>

컨센서스최고최저
투자의견매수STRONG BUY(유지)중립(유지)
목표주가40,65051,00033,000
*최근 분기기준
오늘 BNK투자증권에서 발표된 '매수(신규)'의견 및 목표주가 50,000원은 전체의견에 수렴하면서 시장의 평균적인 기대감이 비교적 객관적으로 표현된 것으로 풀이되며 목표가평균 대비 23% 초과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되었다. 참고로 최근에 목표주가를 가장 공격적으로 제시한 유진투자증권에서 투자의견 'STRONG BUY(유지)'에 목표주가 51,000원을 제일 보수적인 의견을 제시한 케이프투자증권에서 투자의견 'HOLD(유지)'에 목표주가 33,000원을 제시한 바 있다.


<BNK투자증권 투자의견 추이>
의견제시일자투자의견목표가격
20170525매수(신규)50,000
20160622매수(유지)38,000
<최근 리포트 동향>
의견제시일자증권사투자의견목표가
20170525BNK투자증권매수(신규)50,000
20170523메리츠종금증권매수41,000
20170523유진투자증권STRONG BUY(유지)51,000
20170522KTB투자증권매수(유지)37,000
(씽크풀에서 제공하는 컨센서스는 국내 전증권사에서 발표되는 기업분석 리포트 및 코멘트를 실시간으로 통계/분석처리되고 있습니다.)


증시분석 전문기자 로봇 ET etbot@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