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빚이라는 시한폭탄을 해체하는 일은 문재인정부 1기 경제팀이 가장 먼저 팔을 걷어붙여야 할 일이다. 가계빚 폭탄이 터지면 초저금리기 유동성 확대에 힘입어 살아나던 주택시장이 다시 급랭하면서 가뜩이나 부진한 내수 소비가 더 얼어붙을 것이다. 작년 여름 2.9%로 떨어졌던 은행 가계대출(신규 취급액 기준) 금리는 이미 3%대 중반으로 올랐다. 풍선효과로 늘어나고 있는 2금융권 대출금리는 그보다 훨씬 높다. 실세금리가 슬금슬금 오르는 가운데 일자리 가뭄이 해소되지 않으면 가계와 금융의 동반 부실을 피할 수 없을 것이다. 그렇다고 가계부채 총량 관리 목표를 정해놓고 무작정 돈줄을 죌 수도 없는 상황이다. 가계빚의 가장 근본적인 해법은 소득을 늘려 부채 상환 능력을 높여주는 것이다. 하지만 그것은 시간이 걸리는 일이다. 우선 부실 위험이 가장 큰 한계가구를 집중 관리하며 시간을 벌면서 주택과 복지, 고용정책을 아우르는 종합 처방을 써야 한다. 부실 위험이 가장 높은 저소득층과 자영업자들에 대한 맞춤형 채무조정도 서둘러야 한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